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내가 안 쓰는 말 89 식사 2023.7.10.



작은새는 작은벌레 잡고

작은벌레는 작은잎 갉고

작은잎은 너른해 머금고

너른해는 우리 마음 받고


벌나비는 꽃꿀가루 찾고

꽃은 해바람비 맞이하고

해바람비는 푸른별 돌고

푸른별은 서로 섞여 살고


밥알 한 톨에

해님 바람님 비님에

흙님 나무님 풀님에

우리 손길 깃들어


함께 누리면서 나눈다

같이 마시면서 베푼다

즐겁게 차려서 부른다

반갑게 모여서 먹는다


ㅅㄴㄹ


낱말책은 ‘식사(食事)’를 “끼니로 음식을 먹음”으로, ‘음식(飮食)’은 “사람이 먹을 수 있도록 만든, 밥이나 국 따위의 물건”으로 풀이합니다. 더 살피면, 우리말 ‘밥’을 ‘음식’으로 풀이해요. ‘밥 = 먹는 숨결’이기에 “음식을 먹음”이란 풀이라든지 “먹을 수 있도록 만든 밥” 같은 풀이는 뒤죽박죽입니다. 가만히 보면, 쌀밥을 이루는 낟알도 숨붙이입니다. 능금이나 복숭아나 수박이나 배 같은 열매도 숨붙이예요. 고기로 삼는 살점도 숨붙이예요. 우리는 돌이나 쇠를 먹지 않아요. 싱그럽게 빛나는 여러 숨결을 고마우면서 반가이 맞아들입니다. ‘먹다’란 ‘머금다’요, ‘맞다’이면서, ‘받다’입니다. ‘들여’서 몸에 새롭게 기운으로 빛나도록 ‘품’는 숨결인 ‘밥(먹을거리·먹는 숨결)’입니다. 우리가 먹으면서 몸으로 받아들이는 여러 숨결을 보면, 해랑 바람이랑 비를 두루 먼저 받아들였어요. 들이며 풀이며 숲이며 바다에서 스스로 빛나며 살아온 숨결을 새삼스레 ‘밥’으로 삼는 흐름이자 얼거리입니다. 밥알 한 톨부터 고이 여길 줄 아는 마음하고 몸짓이기에 스스로 몸을 사랑으로 돌보는 길이라 할 만합니다.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