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무장지대에서의 사색
이시우 사진 / 인간사랑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 책이름 : 비무장지대에서의 사색
 - 글ㆍ사진 : 이시우
 - 펴낸곳 : 인간사랑(1999.1.15.)
 - 책값 : 1만 원



 이 책 하나 17 ― 대한민국은 평화나라가 아니다
 : 《비무장지대에서의 사색》을 보고 나서


 

 사진을 찍는 이시우 님이 국가보안법을 어겼다고 해서 붙잡혔습니다. ‘이시우 님 한 사람만이 국가보안법을 어겼는가’ 생각해 본다면, 이 땅에서 안 붙잡힐 사람은 없습니다. 하지만 이시우 님만이 붙잡힙니다.

 이시우 님이 붙잡힌 뒤 얼마 지나지 않아, 헌책방 일꾼도 차례차례 ‘국가보안법을 어겼다’는 까닭에 발목잡혀서 붙들립니다. 그나마(?) 이시우 님은 중앙에서 알려진(?) 사진작가이기 때문에 몇몇 언론매체에 소식이 나왔습니다만, 헌책방 일꾼은 전국은커녕 지역에서도 모르기 때문인지 소식을 실어 주는 언론매체가 없습니다. 헌책방 일꾼이 아닌 구멍가게 일꾼이었어도, 동네새책방 일꾼이었어도 마찬가지였으리라 느낍니다. 한편, 이시우 님이나 헌책방 일꾼을 잡아간 ‘국가보안법’을 들이대려 한다면, 누구보다도 노무현, 박근혜, 이회창, 이명박, …… 이런 정치꾼들을 먼저 붙잡아 가두어야 합니다. 이들이야말로 큰힘을 휘두르며 ‘적나라인 북녘에 도움이 되는 몸짓과 말’을 퍼뜨리거든요.


 [53.문산 율곡리]
 : 누가 말했습니다. 싱그런 담쟁이넝쿨이 하루 빨리 자라 철조망을 덮었으면 좋겠다고. 그러나 철조망이 그 안으로 숨어버리면 더 문제입니다. 단절 없는 청산은 낡은 것을 편들기 마련입니다.



 젊은 사내들이라면 누구나 군대로 끌려가는 일 때문에 골머리를 앓아야 하는 이 나라는 평화로운 나라가 아닙니다. 군대에서 두 해를 썩어야 하는 일이 의무가 되어야 한다면, 군인이 되어 나라를 지키는 뜻이 참 평화를 사랑하고 아끼는 일이어야 합니다. 하지만 이 나라 군대는 사람을 바보로 만드는 한편, 계급에 종이 되도록 짓누르고, 이웃이나 동무조차 적인지 아닌지 의심하도록 마음을 무너뜨립니다. 무엇보다도 모든 목숨붙이를 돌볼 줄 알며 사람 사이에서 서로를 믿고 감싸는 마음을 키워 나가야 할 스물 안팎 풋풋한 나이에 ‘사람 죽이는 훈련’으로 몸과 마음이 모두 길들어야 하는 젊음이 애처롭습니다. 아니, 끔찍합니다. 더욱이, 군대로 끌려가 바보에다가, 개에다가, 종에다가, 쓰레기에다가, 살인기계가 된 사내들이 ‘군 가산점’이라는 이름으로 사회에서 쏠쏠히 대접을 받습니다. 예비군이 되어 군인옷을 입고 길거리에서 깽판을 쳐도 붙잡아 가지 않습니다. 해병대 나온 사람들은 ‘나 해병대 몇 기야!’ 하면서 술주정을 부리며 길가는 사람한테 윽박지르기도 하지요. 다른 한편으로는 돈과 힘과 이름이 있는 이들은 ‘구멍난 법 틈’으로 빠져나가 군면제를 받습니다. 어쩌다가 연예인이나 정치꾼 한두 사람은 ‘몰래 군대그물 빠져나간 일’이 들통나지만, 이렇게 들통나서 된서리 맞는 돈꾼ㆍ힘꾼ㆍ이름꾼은 아주 드뭅니다.


 [7.철원]
 : 지뢰표지판은 비바람 맞아 하루하루 뜯겨 가지만, 꽃잎은 하루하루 거듭납니다.



 일제강점기 때 독립운동을 하던 이를 짓밟고 들볶으며 죽이기까지 하던 국가보안법입니다. 민주주의를 짓밟으며 독재정권 탑을 쌓으려고 하던 이승만이 되살려내어 언론통제와 사회통제를 하고자 휘둘렀던 국가보안법입니다.

 해방이 되며 다행스레 국가보안법은 사라졌지만, 이승만이 살려냈습니다. 그나마 열 몇 해에 이르는 독재정권을 젊은 피가 무너뜨렸고(1960년), 젊은 피는 어른이라는 사람들한테 권력을 넘겨주었는데, 이때 권력을 얻은 수구 정치꾼들은 국가보안법을 없애지 않고, 자기들 기득권을 지키려고 또다시 휘둘렀습니다.

 그러고 얼마 있지 않아 군부쿠테타가 일어나 박정희가 독재정권을 움켜쥡니다. 이리하여 일제강점기 때에는 독립운동가를 때려잡던 국가보안법이, 이승만과 박정희와 전두환을 거쳐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평화운동가’와 ‘민주운동가’와 ‘사회운동가’와 ‘노동운동가’와 ‘문화운동가’와 ‘교육운동가’들까지 두루 코를 꿰어 붙들어맵니다.

 코에 걸고 싶으면 코에 걸고, 귀에 걸고 싶으면 귀에 거는 국가보안법입니다. 참말로 나라를 말아먹는 사람들한테는, 참말로 평화를 좀먹는 사람들한테는, 참말로 이웃을 괴롭히며 시커먼 잇속을 챙기는 사람들한테는, 참말로 자연 삶터를 무너뜨리며 물과 바람을 더럽히는 사람들한테는 ‘국가보안법 죄목’을 씌우지 않습니다. 이런 우리 나라가 자유와 민주를 사랑하는 나라라 할 수 있을까요. 휴전선 너머 북쪽에 있는 나라가 ‘인민이 민주주의로 살 수 있는’ 곳이라고 느끼지 않습니다. 휴전선 남쪽에 있는 나라 또한 ‘한겨레가 크게 하나되어 독립되거나 자유롭거나 평화롭거나 민주를 누리며 살 수 있는’ 곳이라고 느끼지 않습니다.


 [2.양구 을지전망대]
 : 군인이 잠시 자리를 비운 초소에 햇살이 가득 들었습니다.



 학교에서는 사람들이 이 세상을 살아가며 머리속에 담아 놓고 있을 지식이 무엇인가를 나눌 수 있어야 좋다고 느낍니다. 사회는 학교에서 얻은 지식을 어떻게 몸으로 껴안고 받아들여서 서로서로 어깨동무를 하며 어울리면 좋은가를 보여주고 이끌 수 있어야 좋다고 느낍니다. 군대가 있어야 한다면, 이 군대에서는 군인이 된 사람 마음을 먼저 가다듬고 추슬러야 한다고 믿습니다. 남을 눌러 제 잇속을 챙길 때 쓰는 힘이 아니라, 힘이 여린 사람을 보듬고 지켜 줄 수 있도록 방패가 되어 주는 매무새를 기르면서, 어떠한 어려움이 있어도 딛고 일어설 수 있는 단단한 마음결을 갈고닦는 곳이 군대가 될 수 있어야 좋다고 느낍니다.

 비무장지대가 있어야 한다면, 지금처럼 남북녘이 백만에 이르는 군인을 촘촘히 박아 놓고 ‘무장지대’를 만드는 거짓말놀이를 벌여서는 안 된다고 믿습니다. 모든 쇠붙이를 거두어들이고 모든 총부리는 땅에 박아 놓으면서, 사람이든 짐승이든 다치지 않고 스스럼없이 드나들 수 있는 자유터, 평화터, 살림터가 될 수 있어야 좋다고 느낍니다. 누군가 쏜 총알에 맞지 않게, 누군가 심은 지뢰를 밟지 않게. (4340.8.8.물.ㅎㄲㅅ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