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5.20.


《어린이의 눈으로 안전을 묻다》

 배성호와 다섯 사람, 철수와영희, 2023.5.5.



아침나절에 느긋이 보수동 책골목으로 걸어간다. 12시 무렵부터 〈국제서적〉하고 〈충남서점〉하고 〈우리글방〉 세 곳을 들러 책을 읽고 장만한다. 오늘은 책마실 발걸음을 하는 분이 꽤 많구나 싶다. 흙날(토요일)이어서 그런 듯싶다. 15시에 〈대영서점〉 앞에서 이야기이웃을 만난다. 오늘은 ‘부산 보수동 책골목’을 온몸으로 느끼도록 책집 한 곳에 깃들어 골골샅샅 누비는 책빛을 나눈다. 그런데 ‘부산 참여연대’ 분들이 책골목에서 마이크를 잡고 떠들기에 “책골목에서 책 보는 분들한테 시끄러우니 낮게 말씀하셔요.” 하고 여쭈었다. 들물결(시민운동)을 하는 분들이면서 책골목에서 책을 안 사읽고 시끌소리만 낸다면 안쓰럽다. 책집도 책골목도 ‘문화탐방 답사지’로 눈구경만 하고서 지나가는 데일 수 없다. ‘부산문화유산 해설가’인 어느 분은 어린이를 잔뜩 이끌고서 쩌렁쩌렁 떠드는데, 이분도 아이들하고 ‘책을 골라서 사읽는 일’은 없이 떠들기만 하고 간다. 《어린이의 눈으로 안전을 묻다》를 읽었다. 숲노래 씨는 아이들한테 ‘안전’을 얘기하지 않는다. 늘 ‘오늘·하루·꿈·사랑·숲·별·새’를 얘기한다. ‘안전함·안전하지 않음’이 아닌, 아이어른 스스로 마음에 품을 참다운 숨빛을 들려주고 나눠야지 싶다.


이 책이 나쁘다는 소리가 아니다.

왜 아이들한테 ‘사랑’에 앞서

‘안전’이나 ‘성교육’을 해야 할까?

왜 아이들하고 ‘숲’이며 ‘새’를

함께 누릴 즐거운 하루를 그리지 않고서

‘교육’과 ‘지식’과 ‘직업’부터

시켜야 할까?

우리는 다들 크게 놓치면서 잊지 않는가?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