샹피뇽의 마녀 3
히구치 타치바나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만화책 / 만화비평 2023.7.14.

만화책시렁 559


《샹피뇽의 마녀 3》

 히구치 타치바나

 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22.7.15.



  한자말 ‘마녀’로는 이 이름을 받는 사람이 무엇을 하며 어디에서 살아가는지를 얼마나 밝히거나 알려줄 만한지 모르겠습니다. ‘마(魔)’라는 한자를 ‘마귀’로 새기곤 하는데, ‘마귀’란 무엇일까요? ‘마·마귀’ 같은 한자는 ‘나쁘다·궂다·못되다·그악스럽다’ 같은 결을 담습니다. 그런데 《샹피뇽의 마녀》에 나오는 아이는 ‘마녀’가 아닌 ‘숲아씨’입니다. 숲에서 살아가며 숲빛을 읽고 알고 나누는 길을 갑니다. ‘숲에서 살지 않으나 숲을 안 보고 못 읽고 안 나누는 사람들’하고 달라요. 먼 옛날 이웃나라에서는 ‘마녀사냥·마녀재판’을 했어요. 어질면서 착한 이들은 마을에서 살거나 마을 곁에 머물면서 숲빛을 나누려 했는데, 숲을 등지기에 그저 두려워하는 이들은 숲아씨를 이웃이나 동무가 아닌 껄끄러운 녀석으로 여겼어요. 오늘날은 어떤가요? 틀(제도권·사회)에 들어와서 ‘틀이 시키는 굴레’대로 밥벌이(회사원 노릇)를 안 하면 예전에 ‘마녀’로 몰았듯 똑같이 따돌리거나 괴롭히는 민낯이지 않나요? ‘버섯순이’를 그리는 조그마한 그림꽃은 ‘숲에서 버섯이 맡은 몫’을 사람도 얼마든지 하면서 조용히 살아간다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숲이 숲일 수 있는 밑힘 가운데 하나는 바로 ‘버섯’입니다.


ㅅㄴㄹ


“아무리 사소한 거라도 싫은 일, 불안한 일은 꼭 일기장에 적어서 마음속에 앙금이 남지 않게 하라고 강력하게 말씀하셨어요, 마녀님이.” (13쪽)


‘어제 무척 괴로운 일이 있었던 것 같은데 아침에 일어나니 그게 뭐였는지 기억이 잘 나지 않았다. 잊어버렸다는 건 별일이 아닌 거겠지? 하지만 마녀님의 다정한 손길만은 어렴풋이 기억난다.’ (78쪽)


“루나를 만지면 네 피부는 문드러지고, 루나의 호흡을 들이키는 순간 병에 걸린다고 하면, 넌 어떡할래? 어떻게 생각해? 루나가 기분 나빠? 이제 같이 있고 싶지 않아?” (96쪽)


#シャンピニオンの魔女 #?口橘


《샹피뇽의 마녀 3》(히구치 타치바나/서수진 옮김, 대원씨아이, 2022)


하지만 존재감은 벌레급이니까

→ 그렇지만 벌레 같은 놈이니까

→ 그러나 벌레 자리에 있으니까

12쪽


넌 최선을 다해서 이 아이를 간호하도록 해

→ 넌 온힘을 다해서 이 아이를 돌봐

→ 넌 있는 힘껏 이 아이를 보살펴

28쪽


초장부터 이러면 어쩌자는 거야

→ 벌써부터 이러면 어떡해

→ 냅다 이러면 어쩌자는 셈이야

48쪽


미흡한 제자지만 앞으로 저도 잘 부탁드립니다

→ 허술히 배우지만 앞으로 저도 잘 여쭙니다

→ 덜익은 아이지만 앞으로 저도 잘 봐주십시오

72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