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3.6.28.

숨은책 817


《韓國美術文化史論叢》

 고유섭 글

 통문관

 1966.7.15.



  어느덧 ‘고유섭’이라는 이름은 ‘인천을 빛낸 얼굴’로 기리지만, 1992년에 ‘문화부 이달의 문화인물’하고 ‘첫 새얼문화대상’으로 이름을 올리기까지 그리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즈음 열여덟 살이던 저는 “선생님, 고유섭이 인천사람이라면서요? 그런데 뭐 하던 사람인가요?” 하고 여쭙니다. 배움터에 있는 길잡이도 그때 고유섭이란 이름을 모르더군요. 고등학교 2학년 푸름이는 곰곰이 생각합니다. ‘낯설거나 모르는 이야기는 물어보나 마나로구나. 스스로 찾아보고 알아봐야겠어! 그런데 서울 인사동 ‘통문관’에서는 이녁 글을 추슬러 꾸준히 선보였고 《餞別의 甁》나 《韓國美術史及美學論攷》에 《고유섭전집》까지 펴내며 ‘우리 스스로 우리 그림을 바라보는 눈길’이란 무엇인가 하는 이야기를 들려주었습니다. 가만 보면, 인천시는 ‘서울에 있는 책집 한 곳’에서 고유섭 글자락을 오래도록 책으로 묶는 동안 쳐다본 일조차 없던 셈입니다. 《韓國美術文化史論叢》은 1966년에 나왔는데, “定價金六百원”에 “정가금八00원”으로 바꾸는 ‘고무도장’을 씌웠습니다. 안쪽에 “1972.11.28. 中央圖書展示館 姜錫禎. 1780원 영수증“이 깃듭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립니다.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