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6.15.
《0원으로 사는 삶》
박정미 글, 들녘, 2022.10.28.
깊어가는 저녁에 책숲을 다녀온다. 조용한 마을에는 개구리노래가 가득하다. 책숲 열쇠를 따려고 하는데 옆에서 푸드덕푸드덕 소리가 나고, 참방참방 물소리가 퍼진다. 자다가 놀란 고라니가 화들짝 뛰며 논으로 달아나는구나. 사람은 들뿐 아니라 숲도 멧골도 온통 차지하면서 ‘내 땅(사람 땅)’이라고 내세운다. 사람들은 ‘고라니 땅’이나 ‘멧돼지 땅’이나 ‘곰 땅’뿐 아니라 ‘민들레 땅’이나 ‘개미 땅’이나 ‘지렁이 땅’이라고 여기지 않는다. 사람이 아니면 ‘땅임자’가 될 수 없다고 여긴다. 종잇조각으로 땅을 사고팔면서 돈을 움켜쥐는 짓이란 얼마나 덧없고 바보스러운가. 그러나 우리는 이 어리석은 민낯을 들여다보지 않으면서 ‘잿더미 종잇조각(아파트 부동산투기)’으로 뻗는다. 별이 가득한 밤에 《0원으로 사는 삶》을 돌아본다. 책이름은 눈에 뜨였지만, 막상 줄거리는 시시했다. ‘돈을 안 쓰면서도 먹고살기’를 다루는 글은 나쁘지 않다. 그렇지만 ‘돈을 안 쓰기’가 아닌 ‘숲을 품기’라든지 ‘들숲과 바다에서 참다운 나를 찾기’처럼, 삶과 숨결이라는 밑자락을 헤아리는 길을 바라볼 수는 없을까? ‘0원으로 살기’나 ‘10억으로 살기’나 똑같다. 둘 다 ‘돈’을 한복판에 놓기 때문에 똑같은 굴레에 갇힌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