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노래꽃 / 숲노래 동시
내가 안 쓰는 말 52 공부 2023.5.19.
머리에 욱여넣기만 하니
멀미가 나서 고단하고
멍멍 어질어질 지치고
생각이 멎는 듯해
마음에 담으려는 길은
스스럼없이 마주하고
스스로지어 만나면서
천천히 슬슬 가지
거미는 하늘을 가르면서
맑게 바람빛 실을 풀고
제비는 구름을 가르면서
밝게 들빛 노래를 품네
꽃피고 잎지는 철을 읽어
눈오고 비오는 날을 읽어
해뜨고 별돋는 빛을 읽어
속으로 익히고 몸으로 배워
ㅅㄴㄹ
‘공부(工夫)’는 “학문이나 기술을 배우고 익힘”을 뜻한다는데, 우리말 ‘배우다’를 “새로운 기술을 익히다”로 풀이하는 낱말책입니다. 겹말풀이예요. 이 같은 뜻풀이로는 우리가 무엇을 ‘배우’거나 어떻게 ‘익히’는가를 알기 어렵겠다고 느껴요. ‘배우다’는 “스스로 몸을 놀려 해보거나 겪다. 몸으로 받아들이도록 스스로 해보거나 겪다”처럼 뜻풀이를 새롭게 추슬러야지 싶습니다. 새롭게 해보면서 그야말로 새롭게 받아들여서 스스로 알아보려는 길이 ‘배우다’라고 할 만합니다. ‘익히다’라면 “자꾸, 오래, 꾸준히 하면서 쉽게 하도록 하다”로 뜻풀이를 붙이면서, ‘배우다·익히다’를 알맞게 갈라서 쓰는 길을 밝혀야지 싶어요. 어두운 곳이 눈에 ‘익’고, 낯선 길도 어느덧 눈에 ‘익는’다고 해요. 처음에는 하나도 알기 어렵고 낯설지만, 하고 또 하고 거듭하면서 몸에 어느덧 붙도록 하는 길이 ‘익히다’입니다. 더 잘 해내고 싶을 적에는 ‘갈다·갈고닦다·닦다’라는 낱말을 쓰지요. 더더욱 잘 해내고 싶으니 ‘벼리다’라는 낱말을 쓰고요. 둘레를 읽고 생각하고 마음을 기울이니 하나씩 알아갑니다. 글도 하늘도 숲도 마음도 읽어요.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