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꽃 / 숲노래 말넋
말꽃삶 11 다른 다양성
겉으로 치레하는 사람을 보면 ‘겉치레’라고 얘기합니다. 멋을 부리려는 사람한테는 ‘멋부린다’고 들려줍니다. 겉치레나 멋부리기에 얽매이는 사람을 마주하면 ‘허울’을 붙잡는다고 짚습니다.
우리말 ‘허·하’는 말밑이 같습니다. 그러나 말밑은 같되 낱말이나 말결이나 말뜻은 다르지요. ‘허울·허전하다·허름하다·허접하다’하고 ‘허허바다’는 확 달라요. ‘하늘·함께·한바탕·함박웃음·함함하다·하나’는 더욱 다르고요.
겉모습을 매만지려 하기에 그만 ‘허울스럽다’고 한다면, 속빛을 가꾸려 하기에 저절로 ‘하늘같다’고 할 만합니다. 이처럼 ‘허울·하늘(한울)’이라는 수수하고 쉬우며 오랜 우리말을 나란히 놓고서 삶을 바라보는 눈썰미를 돌보기에 ‘생각’이 자라납니다. 굳이 일본스런 한자말을 따서 ‘철학’을 안 해도 되고 ‘전문용어’를 쓸 까닭이 없습니다.
‘전문용어’를 쓸수록 생각이 솟지 않아요. ‘전문용어 = 굴레말·사슬말’입니다. 가두거나 좁히는 말씨입니다. 오늘날 숱한 ‘전문용어’는 거의 다 일본 한자말이거나 영어예요. 우리말로는 깊말(전문용어)을 짓거나 엮거나 펴려는 분이 뜻밖에 매우 드뭅니다.
‘허울·하늘’을 왜 삶말이자 깊말로 다루지 않을까요? 곰곰이 보면 “다루지 않는다”가 아니라 “다룰 줄 모른다”입니다. 무늬는 한글인 우리말을 쓰지만, 정작 속으로 하늘빛을 품는 수수하고 쉬우며 오랜 우리말을 모르기에 못 써요. ‘허울’이 왜 ‘허울’이고, ‘하늘’이 ‘하늘’이며, 두 낱말은 어떻게 비슷하면서 다르게 얽히고 같은 말밑인가를 찬찬히 짚어서 안다면, 이러한 ‘삶말’로 생각을 지피는 길을 갈 수 있습니다.
한자말이나 영어를 쓰기에 잘못이지 않고, 나쁘지 않습니다. 우리말을 쓰든 한자말이나 영어를 쓰든, 말뜻을 찬찬히 안 짚거나 못 가눌 적에 얄궂을 뿐입니다. 이를테면, 우리말 ‘다르다’를 한자말로는 ‘이상·수상·다양·차이·차별·특별·특수’로 옮겨서 쓰는 오늘날인데, 한자말 ‘이상·수상·다양’이 무엇을 가리키는지 제대로 짚는 분은 참으로 적습니다.
[국립국어원 낱말책]
이상(異狀) : 1. 평소와는 다른 상태 ≒ 별상 2. 서로 다른 모양
이상(異相) : 1. 보통과는 다른 인상이나 모양
이상(異常) : 1. 정상적인 상태와 다름 2. 지금까지의 경험이나 지식과는 달리 별나거나 색다름 3. 의심스럽거나 알 수 없는 데가 있음
수상(殊狀) : 1. 여느 것과 다른 모양 2. 기이한 형상
수상(殊常) : 보통과는 달리 이상하여 의심스러움
다양(多樣) : 여러 가지 모양이나 양식
차이(差異) : 서로 같지 아니하고 다름
차별(差別) : 둘 이상의 대상을 각각 등급이나 수준 따위의 차이를 두어서 구별함
특별(特別) : 보통과 구별되게 다름.≒특단
특수(特殊) : 1. 특별히 다름 2. 어떤 종류 전체에 걸치지 아니하고 부분에 한정됨 3. 평균적인 것을 넘음
우리말 ‘다르다’는 ‘닮다·담다·닿다’하고 비슷하되 다릅니다. ‘닮다 = 같지 않지만 같아 보인다’는 뜻입니다. “같아 보인다 = 다르다”는 이야기예요. ‘다르다’라 할 적에는 ‘너·나’로 가르거나 나눈다는 뜻이고, ‘닮다’라 할 적에는, 서로 가르거나 나누는 ‘너·나’이지만 자리에 따라 ‘나·너’요 숨결이 흐르는 사람이라는 대목에서는 같다는 뜻입니다. 또한 ‘담다’라 하면, 서로 비슷하거나 같다고 여길 만한 모습이나 결을 받아들인다는 뜻이지요.
그러나 닮거나 담는다고 해서 ‘같을’ 수 없어요. 닮거나 담으면 ‘다를’ 뿐입니다.
닮거나 담기에 ‘닿는다’고 여길 모습이나 길이 있습니다. 우리는 서로 다르기에 ‘닿으’려고 합니다. 서로 닿아서 ‘만남’을 이루니 ‘마음’이 자라서 ‘말’을 터뜨릴 수 있습니다.
‘닿다’는 ‘다다르다’하고 비슷하되 다릅니다. 재미난 말이지요. “다 닿았다”고 여길 수 있으면서 “다 다르다”로 바라볼 수 있습니다.
서로 다르게 있기에 ‘담’을 쌓아요. 우리로 아우르려 하기에 ‘울(울타리)’을 쌓지요. 달라서 가르려는 ‘담’이고, 안으면서 품는 ‘울’입니다. 그래서 ‘울 = 우리 = 너나하나’이기도 한데, ‘울·우리’를 사랑이 아닌 마음으로 쌓을 적에는 남남으로 갈려 서로 놈으로 손가락질하거나 등지기에 ‘가두리·짐승우리’ 같은 결로 달려갑니다.
우리는 때와 곳에 따라 다를 뿐 아니라, 삶과 살림에 따라 다르고, 철과 눈빛에 따라 다른 말을 마음에 담아서 나누기에 생각이 자랍니다. 다른 줄 알아보기에 담아내려는 마음이 자라고, 담다 보니 닮기도 하지만, 서로 다다를 곳은 다릅니다.
어느 책을 읽다가 다음 같은 글자락을 보았습니다. 이 글자락은 ‘다양’이라는 한자말을 제대로 못 가누었구나 싶습니다. 보기글을 손질해 보겠습니다.
[보기글]
“왜 다양성 때문에 귀찮은 일이 생기는 거야?” “원래 다양성이 있으면 매사 번거롭고, 싸움이나 충돌이 끊이지 않는 법이야. 다양성이 없는 게 편하긴 하지.” “편하지도 않은데 왜 다양성이 좋다고 하는 거야?” “편하려고만 하면, 무지한 사람이 되니까.”
[숲노래 손질글]
“왜 다 다르면 귀찮은 일이 생겨?” “모든 사람은 달라. 그래서 다 다른 사람은 다 다르게 보고 느끼고 생각하고 말하고 움직이지. 너랑 내가 달라서 서로 다르게 움직일 적에 귀찮을 수 있을까? 나는 일찍 자서 일찍 일어나고 너는 늦게 자서 늦게 일어나면 귀찮을까? 아닐 테지? 우리는 다 달라서 서로 어떻게 얼마나 다른가를 가만히 보면서 우리 스스로 새롭게 돌아보면서 즐거울 수 있어. 다 다르지 않다면 생각이 사라지지. 생각이 사라지면 남이 시키는 대로만 따라가고, 이러면 우리 삶이 사라져.”
낱말만 손질하지 않고 ‘뜻·줄거리’까지 손질했습니다. ‘다 다르지 않아야 수월하다’고 여길 수 없을 뿐 아니라, ‘수월하게만 하면 어리석은 사람이 된다’고 여길 수 없기도 합니다.
너랑 나는 몸도 힘도 다른데 발걸음을 똑같이 하기는 어렵습니다. 알아듣기 수월하게 말할 적에 어리석은 사람일 수 없습니다. 일은 어려워야 하지 않습니다. 모든 일은 즐겁게 하면서 함께 웃고 노래합니다. 다 다른 사람과 다 다른 발걸음과 다 다른 매무새랑 몸짓은 서로 다른 줄 느끼면서 새롭고 즐겁구나 하고 이 삶을 깨닫는 길입니다.
총칼로 사람들을 억누르던 지난날에는 중국집 같은 데에서 ‘주문 통일!’을 윽박지르곤 했습니다. 똑같은 밥을 시켜서 빨리 나오도록 하고, 빨리 먹고 나가자는 굴레이지요. 적잖은 배움터는 배움옷(교복)을 똑같이 입히고, 머리카락 길이까지 똑같이 자르려 합니다. 다 다른 아이들을 모두 똑같이 틀에 박아 놓는데, 이러다 보니 ‘다 다른 아이를 알아볼 길이 없’어서 ‘셈(숫자·번호)’을 붙여요. 다 다른 아이는 다 다른 이름이 있으나 ‘이름이 아닌 번호’로 부르는 끔찍한 사슬터(감옥)가 배움터(학교)였습니다. 사람이름이 아닌 ‘1번·2번·3번……’처럼 부르는 곳에는 어깨동무(평화)도 사랑도 없습니다.
다 다르게 쓰는 말이란, 다 다르게 보는 눈이고, 다 다르게 살아가는 길이며, 다 다르게 꿈꾸는 사랑이고, 다 다르게 짓는 오늘입니다. 고장마다 고장말이 다르니, 서로 이웃으로 사귀고 만납니다. 아이어른이 서로 다르니, 저마다 다른 힘에 맞추어 저마다 즐겁게 살림을 하고 보금자리를 일굽니다.
우리는 ‘다양성’으로 살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은 ‘이상’하지 않고 ‘수상’하지 않으며 ‘특수·특이·특별’하지 않습니다. 다른 사람은 그저 ‘다른’ 사람입니다.
다른 사람 가운데에는 ‘유난하다’ 싶은 사람이 있을 텐데, ‘유난’이라는 우리말은 ‘윤슬’하고 맞물립니다. ‘유들유들’이라고도 하고, ‘반짝이는 결’을 가리키는 ‘유’라는 말밑이에요.
반짝인다고 할 적에는 ‘돋보이다·도드라지다’이고, ‘돋다’처럼 새롭게 나오는 몸짓이라서 ‘유난’합니다. 이런 결을 담아 반짝이는 물살이라서 ‘윤슬’입니다. 윤슬도 이슬도 구슬도 ‘다른 빛’이기에 서로 다른 숨결을 담으면서 반짝이고 사랑스럽습니다. 다르게 반짝이는 빛을 마음에 품으며 철이 드는 사람은 ‘슬기’로운 길을 갈 테고, 이때에는 ‘어른’으로 큽니다.
어른은, 나이만 많은 사람이 아니라, 윤슬처럼 반짝이고 다 다른 빛살을 어질게 품어서 스스로 철을 알아차린, 빛으로 깨달은 마음결로 살아갈 줄 아는 사람을 가리키는 이름입니다. 다 다른 줄 알기에 ‘어른’이자 ‘철듦’이요, ‘슬기’이자 ‘어짊’이니, 스스로 다르게 아우르면서 하늘빛을 품는 ‘우리’를 바라볼 수 있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