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넋
책하루, 책과 사귀다 179 속
겉을 슥 보면 ‘훑다’입니다. 속을 제대로 보면 ‘읽다’예요. 이야기하고 줄거리를 알아차리려고 바라보기에 ‘읽다’요, 이야기나 줄거리를 건성으로 스칠 적에는 ‘훑다’입니다. 속·속살·속내하고 알·알맹이·알갱이를 받아들이려는 매무새라면 ‘읽다’이지만, 이런 매무새하고 멀다면 ‘훑다’예요. 책은 속으로 읽습니다. 책은 속을 읽습니다. 책은 마음으로 읽습니다. 책은 마음을 읽습니다. 속으로 읽어 속을 받아들이면서 기쁘게 배우는 길이기에 ‘읽다’예요. 속을 헤아리거나 살피려는 마음이 없으면 ‘훑다’이고요. 겉·껍데기·껍질이 나쁠 까닭이 없습니다. 우리는 쌀겨로도 밥을 지어서 먹어요. 겨를 벗긴 흰쌀보다는 겨까지 나란히 받아들이는 밥이 우리 몸을 한결 살찌웁니다. 그런데 겨만으로는 밥이 안 돼요. 속알을 감싼 겨에도 숨빛이 가득합니다만, 속알을 즐거우면서 든든히 누리려고 겨를 받아들입니다. 엮음새나 겉그림이란 ‘겨’예요. ‘겨’가 없이 알맹이만 살핀다면 뻑뻑해요. 겨는 겨대로 가꾸면서 속알을 든든히 빚는 길로 살피면서 나누기에 비로소 알뜰하고 알찹니다. 겨훑기를 넘어 밥짓기로 나아가려는 오롯읽기일 적에 지은이(글쓴이·엮은이·꾸민이·펴낸이) 숨결을 고스란히 맞이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