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4.2.


《식물학자의 노트》

 신혜우 글·그림, 김영사, 2021.4.27.



범나비 둘을 만난다. 겨울나기를 마친 나비로구나. 초피나무에 옅푸르면서 옅노란 빛이 감도는 꽃이 조물조물 핀다. 마당 한켠에 자리를 깔고 웃통을 벗고 누워서 햇볕을 듬뿍 쬔다. 땀이 몽글몽글 돋는다. 겨울이 저물고서 새봄이 찾아오면 어느새 추위가 누그러질 뿐 아니라, 훅 이른더위에 물들기도 한다. 올해는 어떻게 가려나? 올해로 고흥살이 열세 해인데, 우리 보금자리에서 나무가 우거지고 풀꽃이 차츰 늘어나는 결에 따라서 추위도 더위도 차분히 가라앉는 결을 느낀다. 두고보면 알겠지. 4월과 5월을 눈여겨보자. 《식물학자의 노트》를 읽고서 한동안 자리맡에 쌓아 두었다. 손질할 말씨가 대단히 많아서 어찌해야 할까 하다가 미뤘다. 책더미를 치우자고 생각하며 다시 들추는데, 풀꽃지기(식물학자)라는 길을 걷는 이들 가운데 어린씨를 이웃이나 동무로 바라보는 사람은 너무 드물다. 곰곰이 짚자. 파브르 님이 쓴 글은 프랑스말일 테지만, 파브르 님이 ‘어린씨가 못 알아들을 일본 한자말이나 옮김말씨(번역체)’를 썼을까? 아니겠지? 쉽고 수수한 프랑스말을 썼겠지? 이 나라 글꾼과 솜씨꾼(전문가)은 어떤 말글을 혀에 얹고 손에 담는지 돌아볼 노릇이다. 풀을 보면서 ‘풀’이라 말하지 못 한다면, 풀빛을 어떻게 읽을 수 있을까?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