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이들의 풀잎노래 ㅣ 창비시선 114
양정자 지음 / 창비 / 1993년 6월
평점 :
숲노래 노래책 / 숲노래 시읽기 2023.5.11.
노래책시렁 313
《아이들의 풀잎노래》
양정자
창작과비평사
1993.6.15.
다 지나간 일 아니냐고 여기는 분이 있지만, 무엇이 지나갈까요? 지나가면 사라질까요? 민낯을 감추고 얌전을 떨기에 온갖 잘못을 되풀이하고 맙니다. 굳이 예전 일을 들출 마음은 없되, 문득 돌아보고서 오늘을 바라봅니다. 지난날 어린이를 두들겨패던 자리에 선 어른 가운데 이녁 주먹다짐을 낱낱이 뉘우치고 또 고개숙이고 다시 눈물지으면서 조용히 호미를 쥔 채 씨앗을 심으면서 시골에서 살아가는 이는 몇이나 있을까요? 《아이들의 풀잎노래》는 1993년에 나옵니다. 이 꾸러미에 흐르는 모든 이야기를 온몸으로 겪었고, 2010년 무렵까지 인천에서는 그리 안 바뀐 모습을 보았어요. 요새는 ‘학폭’이라 하지요. 예전 길잡이는 가볍게 따귀에 발길질에 몽둥이질을 일삼고 ‘술내기 축구·화투’를 으레 했습니다. “뭐, 예전 일 갖구 뭘?”처럼 여기겠습니까, “창피한 민낯입니다!”로 여기겠습니까? 얼마 안 된 일입니다. 그무렵 얻어터지고 뒹굴어야 했던 어린이·푸름이는 이제 쉰 살도 예순 살도 지나는데, ‘맞고 자라 어른이 된 사람’들 마음에는 무슨 씨앗이 싹텄을까요? 착하기만 해서는 못 산다고 여길 수 없어요. 착한 마음으로 누구나 사랑을 피우도록 ‘어른’이라면 발벗고 바꿔야지요. 참말로 ‘어른·길잡이’라면 말이지요.
ㅅㄴㄹ
승우야, 너 착하고 순진하지만 사내란 / 선만 가지고는 못 사는 세상이란다 / 배 뻥긋하도록 실컷실컷 먹고서 / 어서어서 힘도 세어지고 키도 크거라 / 그래서 다시는 네 몫을 빼앗기지 않도록 해라 (점심시간/38쪽)
가만히 앉아 있어도 땀 줄줄 흐르는 / 연일 30도를 오르내리는 이 불볕 더위에 / 아이들도 아닌 다 큰 남자 선생님들이 / 시험 때라 아이들 일찍 가버리고 텅 비인 / 햇빛만 쨍한 새하얀 운동장을 누비며 / 땀 뻘뻘 흘리며 술내기 축구를 한다 / 이 더위에 보기만 해도 숨 헉헉 막히는 / 여자들은 도저히 꿈꿀 수조차 없는 / 사내들의 저 위대함! / 저 위대함이 한 아내와 자식들을 거느리고 / 전쟁도 일으킨다 (남자 선생님들/50쪽)
비록 매 맞고 매 때리는 사이지만 / 그애 뺨과 내 손의 살이 맞닿는 순간 / 남모를 애틋한 느낌이 잠깐 오간다 / 내가 잠깐 복잡한 심정으로 망설이는 사이 / 눈치 빠른 놈들이 여기저기서 소리친다 / “선생님, 제발 살살 때려줘요 / 성호 여드름 터져요.” (여드름/86∼87쪽)
그때 그 일을
고스란히 남긴
이 글은 무척 값지다.
참으로 값지다.
이런 이야기를 시로 썼다니,
참 대단했다.
시로뿐 아니라 책으로도 나와,
빼도 박도 할 수 없는
지난날과 오늘날 우리 문단과 학교는,
참 놀랍다.
진작 이 느낌글을 쓰고 싶었으나
〈여드름〉을 비롯한 여러 시를
쉽게 읽을 수 없어
얼추 스무 해를 삭이고 난 오늘
비로소 느낌글을 갈무리해 놓는다.
문득 되물어 본다.
왜 때렸을까?
언제 뉘우칠까?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밑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