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3.20.
《어느 병사의 전선일기, 제1차 세계대전의 기록 1914》
바루 글·그림/이성엽 옮김, 지양사, 2022.7.9.
어제 본 텃노랑민들레 두 송이 곁에 두 송이가 더 핀다. 바깥마루 밑 흰민들레 한 송이는 하루 만에 졌는데, 곁에 한 송이가 새로 오른다. 뒤꼍 뽕나무 둘레로는 흰민들레 여러 송이가 한꺼번에 오른다. 오늘부터 입가리개를 안 해도 된다는데, 시골버스에서 입가리개 안 하는 사람은 나랑 큰아이뿐인가. ‘시골구석 고즈넉한 곳’에서조차 입가리개를 끈질기게 하는 분들은 ‘나라가 시키는 종살이’를 얼마나 따박따박 지키는 셈일까. 우리는 ‘입가리개’가 아닌 ‘재갈’을 물린 채 스스로 말도 못 하고 생각도 않고 사랑도 잊은 굴레에 스스로 갇혔다고 느낀다. 누가 일으켜 주어야 하지 않는다. 스스로 서고 꿈꾸고 노래할 수 있어야 ‘사람’이다. 《어느 병사의 전선일기, 제1차 세계대전의 기록 1914》를 읽고서 작은아이한테 건네었다. 지은이가 책끝에 붙였듯, 이 그림책을 이룬 밑글을 쓴 어느 프랑스사람은 싸움터에서 이슬로 사라졌으리라. 어느 싸움터에서나 ‘만 십만 백만’이란 셈값으로 들꽃사람이 죽어나가는데, 이들 들꽃사람 이름은 책(역사책)에 한 줄조차 안 남고, 우두머리 이름만 남는다. 살림집에서 한 사람이 죽어서 사라지만, 살림집은 어찌 되겠는가. 총칼을 만들거나 팔거나 다루거나 거느리는 이는 모두 거짓꾼이다.
#LineofFire #DiaryofanUnknownSoldier #AugustSeptember #StephaneBarroux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