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를 바꾸는 새 - 새의 선물을 도시에 들이는 법
티모시 비틀리 지음, 김숲 옮김 / 원더박스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숲책 / 숲노래 책읽기 2023.4.4.

숲책 읽기 192


《도시를 바꾸는 새》

 티모시 비틀리

 김숲 옮김

 원더박스

 2022.1.5.



  《도시를 바꾸는 새》(티모시 비틀리/김숲 옮김, 원더박스, 2022)처럼 요즈음은 ‘서울에서 새바라기’를 하는 사람이 부쩍 늘고, 이런 줄거리를 다루는 책이 제법 나옵니다. 다만, 부쩍 늘고 책이 제법 나오기는 할 뿐입니다. 아직 모두 얕습니다. 무엇이 얕은가 하면, ‘새가 궁금하면 새한테 바로 물어보면 될 노릇’인데, 우리 스스로 ‘새한테 곧바로 물어볼 마음’이 아닌 ‘조류학자란 이름인 전문가한테 물어보면서 새이름을 외우는 길’에서 맴돌기만 합니다. 길드는 굴레입니다.


  2023년 4월에 “풀꽃도 소리를 지른다”는 이야기가 떴습니다. 이스라엘에서 ‘풀꽃소리’가 어떻게 들리는가를 살폈다지요. 이 이야기를 듣거나 읽으면서 무엇을 느낄 만한가요? “그래, 그분(전문가·과학자)들이 말하니까 믿을 만하구나! 여태 몰랐네!” 하고 여기는지요? 아니면 “그래, 그이(전문가·과학자)들은 이제서야 알아내어 말할 뿐, 풀꽃은 먼먼 옛날부터 우리 곁에서 노래를 부르고 이야기를 속삭이면서 함께 살아왔지. 예전에는 누구나 풀꽃소리에 풀꽃수다에 풀꽃노래를 누리면서 살았지.” 하고 여기는지요?


  개미가 기어가는 소리를 못 듣는 사람이 수두룩하지만, 개미가 기어가는 소리를 알아듣는 사람이 있습니다. 나비가 날갯짓하는 소리를 못 듣는 사람이 많지만, 나비가 날갯짓할 적마다 알아차리는 사람이 있습니다.


  햇살이 퍼지는 소리를 느끼거나 듣나요? 별빛이 드리우는 소리를 느끼거나 듣나요? 바닷물이 출렁이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면, 땅밑에서 샘물이 흐르는 소리를 들을 수 있나요?


  우리가 스스로 눈귀를 안 열었을 뿐, 풀꽃도 새도 풀벌레도 개미도 나비도 별도 해도 흙도 모래도 늘 ‘소리·수다·이야기·노래’를 사람들한테 들려주었습니다. 이러한 ‘소리·수다·이야기·노래’를 느낀 사람들은 ‘글을 안 쓰고 시골이나 숲에서 수수하게 아이를 낳아 돌보는 살림지기로 살아오’면서 도란도란 조촐하게 하루를 그리고 누렸어요. 이러한 풀꽃소리나 나비수다나 별빛노래를 안 듣거나 못 듣거나 ‘그런 소리 따위는 없어!’ 하고 쳐내는 이들은 힘·돈·이름을 앞세우게 마련이었어요.


  이제 처음으로 돌아가서 생각해 봐요. 새 한 마리는 서울(도시)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요?  ‘매캐하고 빽빽하며 시끄러운 서울’이 아닌 ‘풀꽃나무가 우거지고 비바람이 감겨들고 별빛에 햇빛이 춤추던 숲마을 서울’이던 무렵을 온마음과 온몸으로 아는 작은 새 한 마리를 작은 사람으로서 마주하고 만나고 맞이할 수 있으면, 서울도 시골도 아름드리 푸른터로 바꿀 수 있습니다.


  종잇조각(졸업장·자격증·명함)을 버리고 나뭇잎하고 풀잎하고 꽃잎을 손바닥에 얹으면서 새노래를 반길 줄 안다면, 온누리를 아름답게 바꾸는 사랑길을 걸어갈 수 있습니다. 쇳덩이(자동차)에 몸을 싣기만 한다면, 매캐하고 빽빽하며 시끄러운 서울이 더 단단히 뿌리뻗도록 이바지합니다. 두 다리로 사뿐사뿐 풀밭을 거닐면서 마음을 기울여 새랑 이야기밭을 짓는다면, 우리 스스로 눈부시게 거듭나면서 서울도 시골도 저절로 바꾸어 낼 만합니다. 《도시를 바꾸는 새》는 썩 나쁘다고 여길 책은 아니지만 ‘새한테 안 묻고 전문지식에 기대려 하는 대목’에 기울고 말기에 굳이 손에 쥘 만한 책은 아니라고 느낍니다.


  새를 만나고 싶으면 책을 내려놓아요. ‘멀리보기(쌍안경·망원경)’도 집어치워요. ‘꾼(전문가·조류학자)’이 붙인 새이름에 얽매이지 말고, 먼먼 옛날부터 ‘아이를 낳아 사랑으로 돌본 수수한 엄마아빠가 붙인 수수한 새이름’을 떠올리면서 나긋나긋 휘파람을 부는 몸짓으로 새를 불러요. 우리가 맨몸으로 숲에 깃들어 휘파람을 가볍게 불면, 새는 귀를 쫑긋하면서 우리 어깨에 내려앉고, 우리 머리에 날아앉으며, 우리 손바닥에 푸득푸득 날갯짓을 접으면서 가만히 깃들고, 우리 눈을 똑바로 봅니다.


  ‘꾼(전문지식)’을 붙잡을 적에는 서울(도시)을 못 바꿉니다. 꾼을 치워야 비로소 서울을 바꿀 뿐 아니라, 우리 스스로 우리 마음부터 갈아엎습니다.


ㅅㄴㄹ


새의 울음소리를 듣고 행동을 관찰하는 데는 돈을 지불할 필요가 없지만, 이를 통해 우리는 큰 혜택을 얻는다. (28쪽)


새를 관찰하고 새소리를 듣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건강하고 행복해질 수 있으며, 새와 함께하면 정신적으로든 신체적으로든 우리를 힘들게 하는 것이 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135쪽)


빛 공해는 새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 특히 박쥐에게도 위험하다. 사람도 빛 공해 때문에 별을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건강에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193쪽)


우리가 관심을 쏟아야 할 또 하나의 중요한 부문은 이미 만연한 파괴적인 방식의 농업이다. 한 가지 작물만 심는 단일 작물 재배와 고농도 화학약품을 사용하는 지금의 식량 생산 방법은 큰 문제다. (305쪽)


#TheBird-FriendlyCity #CreatingSafeUrbanHabitats #TimothyBeatley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