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3.7.
《푸른 하늘 클리닉 1》
카루베 준코 글·그림/최미애 옮김, 학산문화사, 2005.2.25.
곁님 주민등록증을 찾으러 읍내에 간다. 고흥읍 우체국·읍사무소를 들르는데 버벅거리는 일꾼을 본다. 숲노래 씨는 시골사람이기에 서울·큰고장이 어떠한지 모르겠으나, 시골에 벼슬꾼(공무원)이 너무 많을 뿐 아니라, 너무 자주 바뀐다. 읍내 이곳저곳을 바지런히 걷는다. 푸나무가 자랄 틈을 모두 쇳덩이(자동차)하고 가게하고 부릉길이 차지한 시골 읍내조차 이 봄볕은 봄더위로 바뀐다. 볕이 스밀 흙이나 나무가 없이, 길바닥하고 잿집(시멘트 건물)에 튕기면서 더위가 일어난다. 참으로 시골지기(군수)도 서울지기(시장)도 쇳덩이랑 부릉길을 줄이고 푸나무가 자랄 터를 늘릴 마음을 안 키우는 죽음길로 달려갈 셈인가. 그러나 시골지기·서울지기·나라지기에 벼슬꾼 모두 골목집·시골집에서 안 살고 잿집(아파트)에서만 살 터이니, 그들은 쇳덩이랑 잿집을 못 놓으리라. 《푸른 하늘 클리닉》을 되읽었다. 아이들한테 읽어 보라 건네었다. 무척 아름다운 그림꽃(만화)이지만, 첫벌(1쇄)조차 안 팔린 채 사라졌지 싶다. 모든 아름책이 널리 사랑받거나 팔리거나 읽히지는 못 할 수 있다만, 아름책을 알아차리면서 아름살림으로 거듭나려는 마음이 옅을수록 ‘책이 아무리 많이 나오고 읽히’더라도, 이 나라는 아름나라로 나아갈 수 없다.
#青空クリニック #軽部潤子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