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 이야기 3
우라사와 나오키 지음, 서현아 옮김 / 학산문화사(만화)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그림꽃 / 숲노래 만화책 2023.2.22.

‘제로센’이 그리운 ‘전범찬양’


《아사 이야기 3》

 우라사와 나오키

 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1.4.25.



  《아사 이야기 3》(우라사와 나오키/서현아 옮김, 학산문화사, 2021)을 읽으니, 이 《아사 이야기》는 미야자키 하야오 못지않게 “나도 제로센을 아주 좋아해!” 하고 대놓고 밝히는 ‘전범찬양’이로구나 하고 느낍니다. 우라사와 나오키 이이는 진작부터 ‘일뽕(일본 찬양)’에 사로잡힌 줄거리로 모든 그림꽃을 그려 왔습니다. 《몬스터》도 《20세기 소년》도 《야와라》도 《빌리 배트》도 하나같이 일뽕이요, 《플루토》조차 일뽕을 바탕으로 ‘전쟁찬양’에서 헤맵니다.


  그러나 우라사와 나오키 스스로 이를 못 깨닫는지, 아니면 안 쳐다보는지, 그저 ‘푸른별에서 일본처럼 대단한 나라가 어디 있느냐?’ 하는 수렁에 잠겨서 ‘이 엄청나고 놀라운 일본을 왜 다른 나라에서 안 알아주느냐?’ 하는 혼잣말에까지 이릅니다.


  ‘제로센(제로 전투기)’은 일본이 스스로 자랑해 마지않는 싸움날개(전투기)입니다. 이 제로센으로 미국을 쳐부수며 너른바다(태평양)를 거머쥐고 싶던 일본이었으나 쓴맛을 보았지요. 일본은 미국한테 와장창 짓밟혔고 핵폭탄을 맞았습니다. 이리하여 적잖은 일본사람은 미국을 끔찍하게 미워할 뿐 아니라 ‘전범국가’를 뉘우칠 마음이 없이 ‘안타깝다(억울)’는 마음이 짙어요. 《아사 이야기》도 이런 티를 물씬 풍깁니다.


  일본이 “전쟁이 끝나고 13년(36쪽)”처럼 말할 수 있을까요? 일본은 “전쟁이 끝나고”가 아니라 “전쟁을 일으켜 아시아 뭇나라를 짓밟다가 무너진 지 열세 해”라고 해야 올바릅니다. “성이 다르니까 진짜 가족이 아니라고? 우리는 성이 같은 가족보다 훨씬 진짜 가족이야(174∼174쪽)” 하고 외치기는 하지만, 정작 일본이 이웃나라를 모질게 짓밟은 지난날은 어떤 모습이었는지 까맣게 잊은 듯합니다. 일본은 우리나라를 짓밟고 주무르면서 ‘대동아공영론’이라든지 ‘황국신민’이니 읊었지만, 막상 우리나라는 종살이(노예생활·식민지)에 허덕이면서 목숨까지 빼앗겼습니다. 더구나 일본은 순이(여성)를 붙잡아 노리개(종군위안부)로 괴롭혔습니다.


  《아사 이야기》라는 이름에서 ‘아사’는 ‘아침’을 뜻하는 이름이 아닙니다. ‘전범기(욱일기)’입니다. “아침에 뜨는 해”가 아닌 “자랑스런 일본이 푸른별에 으뜸으로 오른다”고 내세우려는 ‘전범찬양’입니다. ‘자살특공대(가미카제)’를 우러르는 줄거리라고 할 만한 이 《아사 이야기》는 ‘날개순이(여성 조종사)’를 끼워넣어서 슬그머니 ‘제로센 전범찬양’을 숨기려는 얼거리를 짰으니, 아무런 생각이 없구나 싶어요.


  그들(일본 군국주의)이 무슨 짓을 저지르면서 싸움날개를 띄우고, 이웃나라 사람들을 종(노예)으로 부려먹고 짓밟고 죽이고 괴롭히고 따돌렸는지 하나도 안 쳐다보는, 넋나간 그림꽃이 바로 《아사 이야기》입니다. 그들(일본 제국주의)은 1964년 도쿄올림픽이 ‘평화의 제전’이자 ‘근대국가 발돋움’을 나타내는 자랑으로 여기지만, 그들(일본 전범)은 총칼로 죽인 사람들한테 뉘우칠 줄 모르고, 생채기를 다독일 줄 모르고, 그무렵뿐 아니라 오늘날까지 일본에서 고단하게 살아가는 ‘일본한겨레(재일조선인)’는 아예 잊어버리는 얼뜨기 짓으로 뒹굽니다. 이런 넋나간 그림꽃을 구태여 한글판으로 내야 할까요? ‘여성 영웅을 내세워 일뽕을 부추겨 전범찬양과 가미카제 찬미’로 흘러넘치는 줄거리를 ‘만화’라 할 수 없습니다. ‘역사왜곡’일 뿐이자 ‘반성을 모르는 극우주의 늙은이 헛소리’일 뿐입니다.


ㅅㄴㄹ


#うらさわなおき #浦澤直樹 #あさドラ


“그래, 나도 하늘의 용사였는데 하고 원통해 하면서, 하지만 더이상 나는 전투기를 몰기엔 나이를 너무 먹었고.” (35쪽)


“좌우간 시대는 변했어. 전쟁이 끝나고 13년, 모든 것을 잃은 일본은 필사적으로 여기까지 기어왔지. 그리고 이제 한 단계 높은 근대국가로 발돋움할 때가 됐어.” (36쪽)


“도쿄올림픽이라는 평화의 제전으로, 이 블루임펄스가 창공에 그릴 오륜마크는 그 봉화다. 그러니 절대 실패해서는 안 돼.” (37쪽)


“쉽게 비행기를 버리고 탈출해서는 안 돼. 우선 바다, 바다가 안 된다면 강이나 산, 저수지. 좌우간 사람이 없는 곳까지 끌고 가는 수밖에 없지. 마지막 순간까지.” “그럴 수가. 저 사람들은 그렇게 목숨을 건 큰 사명을 맡고 있구나.” (43쪽)


“그 자료더미 속에서 ‘그것’의 약점을 적은 게 발견되면, 거길 조준해서 로켓탄을 먹일 거다. 그게 싫거든 너는 이 일에서 빠져. 아, 그리고 하나 더. 이 일은 절대 외부에 말하지 마라. 민간 비행기에 발사기를 달았다는 걸 신문사에서 알아 봐. 발칵 뒤집히고 … 즉 이제 이 녀석은 그냥 전투기라는 뜻이지.” (141∼142쪽)


“지체 없이 임무를 수행할 것은 말할 필요도 없지만! 만약! 만약 그애가 무슨 큰 사고를 친다 해도, 책임은 모두 내가! 모두 제가 저지른 것으로.” (149쪽)


“실제로 넌 틀린 말을 했어. 성이 다르니까 진짜 가족이 아니라고? 우리는 성이 같은 가족보다 훨씬 진짜 가족이야.” (174∼175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