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3.1.7.


《ねずみくんのチョッキ》

 なかえ よしを 글·上野 紀子 그림, ポプラ社, 1974.8.첫/1980.8.28벌



일산마실을 가는 새벽 네 무렵 세 사람 모두 일찍 일어나서 짐을 꾸린다. 시키거나 깨우지 않아도 스스로 바지런을 떤다. 어여쁜 사람들은 따로 말하지 않아도 척척 챙긴다. 마을 앞을 지나가는 07시 05분 첫 시골버스를 타고 고흥읍으로 가서 1시간을 기다린 다음, 서울 가는 시외버스를 탄다. 낮 1시 무렵 서울에 닿고, 전철로 갈아탄다. 고흥뿐 아니라 나라 곳곳이 먼지띠로 뿌옇다. 사람물결에 부릉너울인 온나라이니, 하늘빛이나 땅빛을 살피면서 걷는 사람은 드물다. 아니, 걸어다니기에 나쁘도록 짜놓은 서울(도시) 얼개이다. 우리 스스로 낮구름도 밤별도 잊어가는 터전이다. 하늘을 씻고 땅을 가꾸려는 마음을 주고받는 말을 찾아보기 어렵다. 《ねずみくんのチョッキ》를 문득 되읽는다. 한글판으로는 《그건 내 조끼야》란 이름으로 나왔다. 썩 틀린 옮김말은 아니되 “쥐돌이 조끼”라든지 “쥐돌이 웃옷”으로 풀어내면 한결 어울릴 만하다고 느낀다. 또는 “쥐돌이 조끼야!”처럼 붙여도 될 테지. 이웃나라에서는 1974년에 나온 그림책이고, 우리는 2000년에 옮겼는데, 우리 손으로 이만 한 삶결을 읽고 살피며 담아낼 만한 붓결이 있을까? 아이랑 살림을 즐겁고 포근히 짓는 마음인 어른이어야 비로소 그림책을 쓰고 그리리라 생각한다.


#나카에요시오 #우에노노리코 #그건내조끼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