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리빵 4
토리노 난코 지음, 이혁진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1년 5월
평점 :
품절


숲노래 만화책 / 숲노래 푸른책 2023.1.18.

새바라기란 사랑바라기



《토리빵 4》

 토리노 난코

 이혁진 옮김

 AK커뮤니케이션즈

 2011.5.25.



  《토리빵 4》(토리노 난코/이혁진 옮김, AK커뮤니케이션즈, 2011)을 되읽으며 문득 돌아봅니다. 새를 보는 일이라면 ‘새보기·새바라기’이지만, 막상 이 나라에서는 ‘탐조·버드워칭’처럼 바깥말을 즐겨씁니다. 새를 살피는 길을 걸으면 ‘새길’일 테지만 ‘조류학’이 되고, 새를 담은 책은 ‘새책’일 테지만 ‘조류도감’으로 바뀝니다.


  곰곰이 보면, ‘새’가 왜 ‘새’인지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래요, 생각하지 않으니 우리말 ‘새’를 쓸 줄 모릅니다. ‘새록새록·새롭다’하고 맞물리는 ‘새’요, ‘생각’입니다. ‘새 = 사이’입니다. 사이란, 하늘하고 땅 사이요, 숲하고 마을 사이입니다. 새가 다니면서 살아가는 곳은 ‘사이’입니다.


  새는 ‘날개’가 있지요. ‘날다·날개’하고 ‘나·너’하고 ‘나무·너머’는 말밑이 같아요. 내가 나답게 살아가기에 ‘홀가분(홀로 가볍다)’입니다. 홀가분할 적에는 훨훨 날아가는 듯한 마음이자 몸입니다. 곧 ‘홀가분(자유) = 나다움 = 새(새롭다)’입니다.


  우리가 우리말을 제대로 알 뿐 아니라, 삶과 살림과 숲을 바탕으로 사람이라는 길을 생각하는 숨결이라면, ‘새바라기·새길·새책’이라는 이름을 즐겁게 쓰리라 여겨요. 새가 왜 새인 줄 살피지 않기에 그만 ‘조류·탐조·버드워칭’이란 수렁에 잠깁니다.


  토리노 난코 님은 어느덧 2022년까지 《とりぱん》을 서른 자락째 내놓지만, 한글판 《토리빵》은 더 안 나올 뿐 아니라, 새롭게 옮기려는 몸짓도 안 보입니다. 이웃나라 일본에서는 새바라기를 다루는 그림책·그림꽃책·얘기책·꾸러미가 잔뜩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아직 몇 가지 없기도 하고, 부드럽고 쉬우면서 즐겁게 여미는 아름다운 책조차 없다고 할 만해요.


  왜 새를 새대로 바라보지 못 하고, 새 이야기를 못 담을까 하고 돌아보노라면, 먼저 우리말부터 우리말답게 쓰는 이웃이 드뭅니다.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이들은 하나같이 시골에서 안 삽니다. 새바라기를 하더라도 서울(도시)에서 합니다. 시골은 어쩌다 마실을 하는 고장으로 여깁니다. 이른바 ‘마을새보기(도시탐조)’는 하되 ‘시골새보기·숲새보기’로는 잇지 못 하기 일쑤예요.


  생각해 봐요. 새는 사람한테 삶터를 엄청나게 빼앗겼습니다. 서울(도시)은 둥지도 빼앗지만, 사람 사이에서 상냥하게 어우러지는 숨길도 빼앗습니다. 어린이·푸름이는 부릉이(자동차)를 몰지 않는데, 부릉길(찻길)만 너무 넓어요. 어른들은 부릉이를 아무 데나 세우고 골목을 쇳덩이로 채우지만, 어린이·푸름이는 느긋이 쉴 데마저 없다시피 합니다.


  새를 바라보려면 먼저 시골하고 숲을 바라보는 눈을 키울 노릇입니다. 새를 알려면 먼저 풀꽃나무를 사귀면서 알 노릇입니다. 새가 속삭이는 노래를 들으려면 먼저 바람노래랑 구름노래랑 비노래랑 바다노래랑 흙노래랑 풀노래를 들을 노릇입니다. 새를 글로 옮기거나 그림으로 담으려면 먼저 사랑빛을 마음으로 가꾸어 가만히 우리말로 나긋나긋 들려주는 숨결로 피어날 노릇입니다.


  그림꽃 《토리빵》은 이 여러 가지를 느긋느긋 일구면서 담아내는 아름책입니다. 그림꽃님인 토리노 난코 님은 ‘새가 가르는 하늘빛’을 그림으로 담고, ‘새가 내려앉는 풀꽃나무’를 그림으로 옮기고 ‘새가 들려주는 노래’에 휘파람으로 맞가락을 부르다가 문득 그림에 실어냅니다.


  새바라기란 숲바라기입니다. 새보기란 사랑보기입니다. 새찾기란 살림찾기입니다. 새하고 어깨동무를 하고 싶다면, 어린이·푸름이하고 맑고 밝게 말을 섞을 줄 알 만큼 눈높이를 가다듬고서 이 땅에 두 다리로 튼튼히 서기를 바라요. 부릉부릉 몰지 않는 몸짓이어야 새를 만날 수 있습니다.


ㅅㄴㄹ


지금 특별히 갖고 싶은 것은 없다. 좋아하는 일만 하면서 느긋하게 산다는 꿈도 이뤘고, 대부분의 것은 없어도 별문제 없는 것이고. 그러니까 이제 좋은 아이가 되려고 하지 않아도 된다. 산타가 머리 위를 그냥 지나쳐 버려도 아무렇지 않은 사람에게 행복 있으라. (8쪽)


오래되고 사랑받지 못하는 그릇에 어느샌가 맛있는 추억이 가득 담겼다. (44쪽)


3월 초 해뜰 무렵 백조들이 돌아가는 소리가 들린다. 철새들의 이동시기가 다가오자 오리조차 빵은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막 자라기 시작한 물가 수초를 먹느라 정신없다. 빵이니 우지니 바나나 같은 자연에서 구할 수 없는 물품이 갖춰진 모이터는 편의점 같은 존재. 먹이를 구하기 힘들 때는 편리하지만 제철이 돌아오면 자연스레 발길이 뜸해진다. (60쪽)


지난봄엔 벚꽃을 보고 눈이 흩날리는 것 같다고 생각했건만, 꽃을 보며 눈을 아쉬워하고 눈을 보며 꽃을 그리워한다. (76쪽)


5월 하늘에 제비가 날고 있다는 걸 몰랐다 … 기억을 사진에 맡긴 채 지금 눈앞에 보이는 것마저 잊어버린다. 그림으로 옮김으로써 사물에 대한 신선한 시선을 유지한 화가의 눈이, ‘보는’ 행위의 무한함을 가르쳐 준다. (80쪽)


나무 밑에서는 봄이 되면 이 숲에서 가장 큰 꽃을 피우는 풀이 잠에서 깨어납니다. 세찬 비나 여름의 강렬한 햇살이 닿지 않도록 나무는 가지를 뻗어 가려 줍니다. 그러면 여름이 끝날 무렵 꽃봉오리가 맺히고, 동틀녘의 하늘빛을 닮은 보라색 꽃이 피어납니다. 이윽고 가을이 되면 꽃은 솜털로 변합니다. (110쪽)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