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도 까칠한 숲노래 씨 책읽기


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2.22.


《구본형의 마지막 편지》

 구본형 글, 휴머니스트, 2013.7.15.



밤새 발앓이를 했다. 발바닥이 따끔따끔해서 내내 아얏 소리를 내며 뒤척였다. 새벽 네 시에 일어나서 셈틀을 새로 놓았다. 새벽나절이 흐르니 겨우 자리를 잡는데, 미처 못 옮긴 파일이 있다고 뒤늦게 알아차린다. 묵은 셈틀을 다시 놓고서 옮겨야겠네. 아침부터 낮까지 해가 나더니 저녁부터 눈발이 날린다. 어린 마을고양이가 우리 집 마당하고 앵두나무 곁에서 기웃거린다. 물까치가 눈을 맞으면서 우리 뒤꼍에 모여서 수다잔치를 편다. 발을 쉬지 않았으니 발앓이를 한다. 예전에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를 하면서 짐자전거로 책집마실을 한창 다닐 적에도 곧잘 발앓이를 했고, 싸움터(군대)에서도 늘 머나먼길을 걸어야 했으니 가끔 발앓이를 했다. 조금만 걷고 쉬엄쉬엄 지내야 발에 새롭게 기운이 오른다. 《구본형의 마지막 편지》를 한 해 만에 읽는다. 장만해 놓고서 미처 못 읽은 책이 한가득인데, 모두 제때에 제대로 읽으리라 여긴다. 먼저 읽는 책이 있고, 느긋이 읽는 책이 있고, 한참 뒤에 읽는 책이 있다. 저마다 스스로 배울 때에 이르면 손에 쥐는 책이다. 알찬 책도 알량한 책도, 아름다운 책도 허접한 책도, 다 다르게 우리를 이끌면서 배움숲으로 북돋운다. 두 아이하고 하루쓰기를 하면서 오늘 삶걸음을 되새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