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꽃
나는 말꽃이다 119 겉속
글쓰기는 쉽습니다. 쉽다고 생각할 일조차 없이 그냥 하면 넉넉합니다. 누구나 그저 하루를 살아가는 결이 고스란히 글로 태어난다고 느낍니다. 모든 사람은 다 다르기에 언제나 다 다르게 살아가고, 이 다 다른 삶이 다 다른 글로 태어나게 마련이기에, 남 눈치를 안 보고서 스스로 마음속을 바라본다면 눈부신 글밭이 되는구나 싶습니다. 어버이라면 아이랑 놀다가 글을 쓰면 됩니다. 아이라면 신나게 놀다가 글을 쓰면 됩니다. 어른이라면 집안일을 하다가 글을 써요. 자전거를 타다가, 두 다리로 걷다가 글을 써요. 풀벌레랑 수다를 떨다가, 나무를 쓰다듬다가, 꽃송이한테 다가가 무릎을 꿇고 앉아 눈을 감다가 글을 써요. 비를 맞다가, 바람을 마시다가, 햇볕을 쬐다가 문득 쓰면 모두 글입니다. 꾸미거나 치레하지 맙시다. 덧바르거나 따오지 맙시다. 스스로 살아가는 속마음을 그대로 씁시다. 겉모습·눈치를 살피면 겉글(겉치레 글쓰기)이 됩니다. 속마음·사랑을 생각하면 속글(스스로 마음을 사랑하는 글)이 돼요. 낱말책은 겉글 아닌 속글입니다. 낱말뜻을 제대로 풀이해서 서로 제대로 알아차리도록 하려면 뜻풀이나 보기글을 꾸며낼 수 없습니다. 꾸밈없이·그대로·삶으로 쓰는 글을 그러모아서 뜻풀이랑 보기글을 싣는 낱말책입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선생님, 우리말이 뭐예요?》,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