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빛꽃 / 숲노래 사진빛 2022.12.27.
‘사진가 시대’는 끝났습니다
― 서학동사진관 김지연 님한테
유진 스미스 님은 ‘미나마타’를 찍었지만, 구와바라 시세이 님은 ‘미나마타’를 못 찍었습니다. 유진 스미스 님은 미나마타에 그리 오래 머물지 않았으나 석 달 사이에 미나마타를 품었고, 구와바라 시세이 님은 여러 해를 머물렀어도 미나마타를 품지 못 했습니다. 둘 사이는 그저 한 가지가 다릅니다. 유진 스미스 님은 “어렵거나 뜻있거나 빛나는 일”을 한다고 여기지 않았고, 구와바라 시세이 님은 “어렵거나 뜻있거나 빛나는 일을 나서서 한다”고 여겼습니다.
에드워드 커티스 님이 북중미 텃사람을 사진으로 담을 적에, 안셀 아담스 님이 미국 아름숲을 사진으로 담을 적에, 도로시아 랭 님이 이웃사람을 담을 적에, 이 세 사람은 “어렵거나 뜻있거나 빛나는 일”이라고 여기지 않았습니다. 이 세 사람은 ‘자랑(자부심)’을 안 하는 마음으로, 그저 ‘삶을 사랑하는 살림을 짓는 오늘’을 스스로 누리면서 이웃하고 어깨동무하는 길을 걸었을 뿐입니다. 이런 세 사람이 남긴 사진을 놓고서 뒷날 여러 비평가나 사진가가 ‘대가·명작·기록’이란 이름을 붙일 뿐입니다.
우리나라 어느 갈래가 무리(집단·카르텔)가 아니겠습니까만, 사진밭도 무시무시하게 무리를 이룹니다. 다른 어느 갈래보다 무리질이 깊고 넓은 사진밭인 터라, 우리나라에서도 사진을 좋아하거나 즐기거나 사랑하려는 분이 많았지만, 하나같이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고서 떠났습니다. 또는 무리에 슬그머니 붙어서 이름을 얻거나 자리를 잡거나 돈을 쥡니다.
온누리(전세계)에서는 크고 묵직하고 비싼 사진기가 스러지면서 값싸고 작은 사진기가 퍼지더라도, 우리나라만 유난히 크고 묵직하고 비싼 사진기가 춤추었습니다. 무엇보다 우리나라에서는 ‘사진책을 내려’는 사진가가 너무 적었고 ‘사진전시를 열어서 사진을 팔아 살림에 보태려’는 사진가만 수두룩했습니다. ‘전시도록’조차 없이 사진전시를 연 사람도 참 많았고요.
이제 ‘사진가 시대’는 끝났습니다. 손전화가 퍼질 즈음 필름사진기도 와르르 무너졌고, 어린이까지 손전화를 쥐는 이맘때에는 ‘사진가만 사진을 찍는 때’가 아닙니다. 이제는 그야말로 ‘누구나 사진즐김이’입니다. 그런데 아직도 우리나라는 사진가인 분들이 ‘아티스트·포토그래퍼’ 같은 영어로 스스로 꾸미려 합니다. ‘사진가들이 서로 써 주는 주례사 같은 사진비평’은 여느 사람들이 도무지 알아들을 수 없는 서양이론을 일본 한자말하고 영어로 범벅한 글투성이입니다.
어린이한테 철학이며 미술이며 정치이며 역사이며 환경이며 들려주려고 눈을 낮추고 무릎을 꿇고 어깨동무하는 어른이 다른 갈래에는 하나둘 늘지만, 우리나라 사진밭만큼은 ‘어린이를 안 쳐다보고 무리를 짓는 사진가’만 넘실거립니다.
언제까지 그 나물에 그 밥인 사진밭이어야 할까요? 요즈음 우리나라에서 ‘사진가’는 사라져야 하거나 사라질 만한 자리라고 느낍니다. 다 걷어치워야지요. 마을을 보고, 어린이를 보고, 숲을 보고, 마음을 볼 노릇입니다. 대단하거나 값지거나 뜻있는 작품을 내놓으려는 사진은 멈출 수 있기를 바랍니다. ‘대단하거나 값지거나 뜻있는 작품을 내놓으려는 사진’을 못 멈춘다면, 앞으로 우리나라 사진책이며 사진판은 모래알처럼 사라지겠지요.
목소리만 남은 채 떠도는 우리나라 사진을 누가 들여다볼까요? 사람들은 대학교를 안 다니고, 사진강의를 안 듣고, 사진책을 안 읽고, 사진가를 모르고, 사진이론조차 들은 적이 없고, 갤러리나 전시관을 간 일이 없어도, 손전화를 켜서 즐겁게 오늘 하루를 사뿐히 담고서 나눕니다. ‘사진가 시대’를 붙잡지 않기를 바랍니다. ‘사람길·살림길·삶길·사랑길·숲길’이라는 ‘새로운 ㅅ길’을 사뿐사뿐 춤추고 노래하면서 어린이랑 나란히 나아가기를 바랍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