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숨은책시렁 107


《그리운 것은 말하지 않겠다》

 김수미 글

 샘터

 1987.10.10.



  군산 말랭이마을 한켠 ‘채만식 글돌(문학비)’하고 언덕받이 마을책집 〈봄날의 산책〉 사이는 ‘김수미 길’입니다. 예나 이제나 새뜸(신문·방송)에서는 시골살이를 거의 안 다루는데, 나라가 온통 서울바라기(도시화·도시집중)이니 눈여겨보는 사람이 드물고, 속깊이 헤아리려는 마음도 줄어요. 이러다 그저 귀퉁이 같은 〈전원일기〉가 태어났고, 여기에서도 귀퉁이 몫이던 ‘일용 엄니’가 빛났습니다. 한창 꽃다운 나이에 색시도 아줌마도 아닌 할머니로 꾸며야 하던 김수미 님은 처음에 몹시 뿔난 마음이었다지만 부아를 삭이고서 ‘두고봐, 누구도 생각 못한 연기를 보여주겠어’ 하고 별렸다더군요. 구석자리 작은 할머니 몫을 참말로 어릴 적부터 늘 보던 마을 할매 모습을 떠올려 살려내면서 〈전원일기〉도 김수미 님도 새삼스레 돋보였어요. 이런저런 속내는 《그리운 것은 말하지 않겠다》에 환히 드러납니다. 바닥을 치는 삶에서 별님을 그리며 걸어온 나날은 응어리를 이슬로 바꾼 손빛 같군요. 아버지 바짓가랑이를 잡고서 군것질할 돈을 조르던 작은아이는 어느새 너털웃음을 짓는, 참말로 할머니가 되었습니다.


나는 대본을 받아들면 사랑하는 님을 만나러 가기 위해 곱다랗게 분 단장하는 여인네의 기분을 가져본다. (184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