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9.13.


《박막례시피》

 박막례·김유라 글, 창비, 2020.9.14.첫/2020.9.15.2벌



숲노래 책숲 꽃종이(소식지)를 어찌할까 생각하다가, 손으로 여미어 읍내에 가서 뜬다(복사). 큰아이가 빚은 그림꽃(만화)을 담았는데, 복사집으로는 안 되겠구나. 꼭 인쇄로 맡겨야겠다. 우체국 일꾼이 또 바뀐다. 아, 올해에만 몇 판째인가? 새 일꾼은 일을 하나도 모른다. 글자락 하나 부치는 데에도 한참 걸린다. 더구나 마감이 이르다. 낮밥때는 닫아걸고, 일꾼은 일을 못 하고, 마감은 16시 30분에 한다면, 아예 일을 않겠다는 소리일까? 이 나라는 우두머리와 벼슬꾼뿐 아니라, 밑자리까지 속속들이 곪는다. 옆마을에서 시골버스를 내려 논둑길을 걷는다. 가을에 올라오는 들꽃을 바라보면서 마음을 추스른다. 《박막례시피》를 읽어 보았다. 박막례 님이 밥을 차리는 그림을 죽 보는데, 내가 집에서 해보고 싶은 밥은 하나도 없다. 매워도 짜도 달아도 다 내키지 않는다. 투박하게 밥짓기를 일군 할머니가 갑자기 사랑받는 일은 멋스럽다고 할 만하지만, 책으로나 여기저기에서나 너무 돈벌이(상업주의)로 팔아치운다고 느낀다. 그러나 이런 돈바람이 몇 해를 가겠나. 할머니는 그저 할머니로, 또 밥할매로 바라보면 안 될까? 왜 자꾸 광대(연예인)로 세우려고 하는가? 더구나 이런 돈벌이짓·광대짓을 ‘창비’란 데에서 하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