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2022.10.8.

책하루, 책과 사귀다 141 열화당 “세기말 사은 대잔치”



  1999년 8월부터 펴냄터(출판사) 일꾼으로 지냈습니다. 새뜸나름이(신문배달부)로 살면서 혼자 책을 사읽고 누릴 적에는 도무지 알 길 없던 책마을 속내하고 속낯을 이때부터 하나하나 보았습니다. 제가 일하던 펴냄터조차 이곳 엮음이(편집자)는 이웃글꾼(외국 작가)한테 글삯(저작권료·인세)을 치를 적마다 “돈이 아깝다”고 말했습니다. 그무렵 웬만한 펴냄터는 이웃글꽃(외국문학)을 몰래 냈습니다. “굳이 이웃글꾼한테 돈(인세)을 줘야 하느냐?”고 밝히는 엮음이나 펴냄이(대표)가 많았어요. ‘열화당’도 그런 펴냄터 가운데 하나입니다. 《곰브리치 서양미술사》를 비롯해서, 이웃나라(외국) 책을 으레 ‘몰래 훔쳐서(계약을 안 하고 무단으로) 냈’어요. ‘열화당’도 숱한 펴냄터도 ‘이웃나라 저작권’뿐 아니라 ‘엮음새(편집)·꾸밈새(디자인)’까지 그대로 훔치기 일쑤였어요. 이런 훔침질은 우리나라가 세계저작권협회에 들어간 2000년 1월 1일부터는 더 할 수 없었다는데, ‘열화당’은 1999년 12월 31일까지 ‘몰래 훔쳐서 낸 책’을 어떻게든 더 팔아치우려고 용을 쓰더군요. 이른바 “세기말 사은 대잔치”란 이름을 붙였는데, ‘저작권 도용’으로 펴냄터 이름값(명예)·돈(재산)을 가로채면서 오늘날에 이르렀다고 할 만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