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9.13.

숨은책 750


《자연 1―1》

 문교부 엮음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63.8.15./1970.3.1.



  어린배움터(국민학교)에 들어간 1982년 3월 2일부터 무엇을 배웠나 돌아보면, 첫째로는 ‘길잡이(교사)가 뭘 말할 적에 옆을 보지 말고 그 어른 얼굴만 봐야 한다. 안 그러면 두들겨맞는다’입니다. 둘째로는 ‘그 어른이 뭔가 실컷 떠든 이야기를 못 알아들었어도 물어보지 마라’입니다. 셋째로는 ‘아무 말 않고 얌전히 있으면 얻어맞을 일이 없다’입니다. 넷째로는 ‘배움터(학교)는 불구덩이(지옥)로구나’예요. 지난날 저나 또래는 ‘한글’이 뭔지조차 모르는 채 어린배움터에 들어갔습니다. 제가 깃든 배움칸(학급)에는 쉰다섯 아이가 있었는데, 이 가운데 미리 한글을 익힌 또래는 둘이었습니다. 쉰세 아이 가운데 적잖은 아이는 한글을 못 뗀 채 두걸음(2학년)으로 올랐는데, 저는 글씨가 재미있다고 여겨 이레 만에 떼었어요. 그냥 새롭게 보는 모두 기쁘게 받아들이고 싶었을 뿐이고, 몽둥이나 손찌검을 휘두르는 어른들이 아리송했습니다. 1963년에 나온 《자연 1―1》하고 1982년 《자연》은 똑같지 않습니다만, 글이 거의 없이 그림으로만 이야기를 편 대목은 비슷합니다. 그때(1982년) 혼잣말처럼 “뭐야? 집하고 마을에서 늘 보는 모습이잖아?” 하고 읊다가 꿀밤을 먹었어요. 그런데 오늘날 이 나라에 ‘숲(자연)’은 어디 있나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