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7.30.
《독립정신》
이승만 글, 태평양출판사, 1954.7.15.
등허리가 찌릿찌릿하다. 구름이 짙은 하루이다. 아침에 초피나무 가지 끝에 붙은 매미 허물을 보았다. 우리 집 매미노래가 우렁차다. 저녁에는 모기그물을 갈았다. 열두 해 만이겠지. 바람이 싱그럽고 비가 가볍게 오려나 싶다. 조용히 쉬는 하루가 가만히 흐른다. 《독립정신》을 더듬더듬 읽어 보았다. 1954년에 나온 판을 이웃님이 건네주었다. 이승만이라는 분은 우리말을 잘 쓰지 못 했고, 한글도 잘 다루지 못 했다고 한다. 곰곰이 생각하면, 나라지기를 맡은 이들 가운데 우리말하고 한글을 옳게 살피며 알맞게 다루는 이가 여태 하나라도 있었을까? 숱한 벼슬아치 가운데에는 몇이나 우리말하고 한글을 찬찬히 가누거나 슬기롭게 펼까? 어린배움터나 푸른배움터 길잡이조차 우리말하고 한글을 엉터리로 쓰기 일쑤이다. 글을 쓰거나 다루는 자리에서 일하는 적잖은 이들이 ‘말글 = 삶넋’인 줄 제대로 안 들여다보곤 한다. 글하고 동떨어진 채 스스로 삶을 지으며 말로 살아가는 이들은 엉터리인 말은 좀처럼 안 쓴다. 다만, 힘꾼이나 돈꾼한테 붙는 ‘말로만 일하는 사람’들이 쓰는 말은 글바치하고 매한가지이더라. 나라지기라는 자리에 서려면, 무엇보다도 우리말 우리글을 우리 숨결로 슬기롭게 가다듬을 수 있어야 할 텐데, 글쎄.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