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7.27.


《나선》

 장진영 글·그림, 정음서원, 2020.10.12.



인천 숭의동 용정초 앞에서 수봉산 건너 주안우체국으로 가려고 시내버스를 기다린다. 곧 오겠거니 하다가 40분을 기다렸다. 이만큼 기다릴 바에는 걸어가도 벌써 닿았겠네. 책짐을 부치고서 인천 서구 〈호미사진관 서점안착〉을 찾아간다. 다시 골목을 걷다가 인천지하철을 타고서 〈딴뚬꽌뚬〉으로 간다. 두런두런 이야기꽃을 편다. 해가 진 이 고장도 별빛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이제는 이 나라 시골조차 읍내는 ‘별빛밤’이 아닌 ‘불빛밤’이다. 그런데 오랜골목이 너른 인천은 불빛밤에 ‘잎사귀 찰랑이는 바다물결노래’를 들을 수 있구나. 개구리노래도 풀벌레노래도 멧새노래도 부릉소리에 잡아먹히는 큰고장이라지만, 거리나무나 마을나무가 우람한 곁에서는 밤바람이 나뭇잎을 간질이며 들려주는 잎노래가 아름답다. ‘민중만화’ 《나선》을 읽었다. 박정희에 이은 전두환 총칼나라(군사독재)를 뒤엎고픈 마음인 사람들이 어떻게 싸우고 얼마나 눈물지었는가 하는 줄거리를 담는다. 뜻깊기에 장만하기는 했으나, 아무래도 낡았거나 늙은 책이다. 그린이가 ‘밑사람’을 다루기는 했으나 ‘들사람’도 ‘숲사람’도 아니다. 밑바닥(하층민)이 아닌 ‘순이돌이(수수한 사람)’인 줄 스스로 느끼지 않는다면 글도 그림도 촛불물결도 낡아버린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