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8.22.
숨은책 739
《朝鮮敎會史序論》
샤를르 달레 글
정기수 옮김
탐구당
1966.5.20.첫/1977.8.15.고침
우리나라 발자취(역사)를 다룬 책이 꾸준히 나오지만, 창피한 민낯을 스스럼없이 밝히는 일은 드물어요. 숱한 책(역사를 다룬 인문책)은 우두머리·글바치·벼슬아치를 둘러싼 줄거리를 짚을 뿐, ‘이름없이 살림을 지으며 아이를 낳고 돌보며 흙을 일구어 살아온 수수한 사람들’ 이야기는 거의 안 짚거든요. 2015년에 《벽안에 비친 조선국의 모든 것》이란 이름으로 새로 나온 《朝鮮敎會史序論》입니다. 샤를르 달레(Charles Dallet 1829∼1878) 님이 쓴 책이고, 적잖은 이야기는 어릴 적에 마을 할머니하고 할아버지한테서 들은 적 있습니다. 할머니를 낳은 할머니가 겪고, 할아버지를 낳은 할아버지가 치른, 아프면서 슬픈 멍울은 ‘조선왕조실록’ 따위에는 안 적혔을 테지만, 들꽃 같은 사람들 마음에는 똑똑히 남았겠지요.
ㅅㄴㄹ
“조선 귀족은 도처에서 지배자와 폭군처럼 행세한다. 대귀족이 돈이 없으면, 하인을 보내서 상인이나 농민을 잡는다. 그 자가 기꺼이 돈을 낼 때에는 놓아 주고, 그렇지 않으면 양반 집에 끌고 가서 가두고, 먹을 것을 안 주고, 요구하는 금액을 치를 때까지 때린다.” (179쪽)
“조선에서도, 아시아의 다른 나라들에서와 같이, 풍속은 무섭게 부패해 있으며, 그 필연적인 결과로 여성의 보통 처지는 불쾌하리만큼 저열한 상태에 있다. 여자는 남자의 반려가 아니라, 노예에 불과하고, 쾌락 또는 노동의 연장에 불과하며 …… 여자는 이름이 없다.” (199쪽)
#CharlesDallet #HistoireDeLEgliseDeCoree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