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8.22.

숨은책 724


《최신 학교무용》

 구채경·김금희·성인자·이석기·추분자·한현옥 엮음

 교육자료

 1985.7.20.



  어린배움터(국민학교)를 다니던 무렵, 가을놀이(운동회)는 반가우면서 끔찍했습니다. 가을놀이를 할 적에 여럿이 보는 앞에서 달리기를 할 수 있어 기뻤어요. 100미터는 느리지만 오래달리기만큼은 손가락에 꼽을 만큼 잘 했기에, “저 고삭부리가 용케 오래 잘 달리네!” 소리를 듣는 하루였습니다. 가을놀이에 맞춘 잔치밥도 설레는 한 가지입니다. 다만, 가을놀이를 맞이하는 날까지 봄부터 하루 한나절씩 땡볕에 모둠춤(집체극·매스게임)을 해야 했고, 비가 오는 날에는 배움칸(교실)에서 끝없이 손짓·발짓·몸짓을 따라해야 하니 지겹고 힘들었어요. 《월간 교육자료》 덧책(별책부록)으로 나온 《최신 학교무용》입니다. 이런 책이 있었군요. 배움터 길잡이는 으레 이런 책을 살펴서 어린이를 들볶았군요. 이 책에 깃든 그림은 모조리 일본책을 훔친 듯합니다. 노래만 우리 노래를 넣고, 몸짓이며 흐름은 다 일본사람이 짰을 테지요. ‘모둠춤’은 우두머리(교장·대통령)한테 잘 보이려는 바보춤이라고 느낍니다. 남녘도 북녘도 이 모둠춤에 목숨을 건 듯해요. 다 다른 아이가 다 다른 사랑이요 숨결인 줄 안다면 틀에 가두지 않을 테고, 억지로 몇 달 동안 괴롭히지 않겠지요. 아직 이 멍청춤을 시키나요, 이제는 사라졌는가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