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7.1.
《송이와 꽃붕어 토토》
다시마 세이조 글·그림/황진희 옮김, 한솔수북, 2022.5.5.
어제를 돌아본다. 날이 맞지 않으면 다음으로 미룰 만하다. 오늘은 어디를 찾아갈까 헤아리다가 느긋이 움직인다. 〈책이는 당나귀〉가 아직 열지 않을 무렵 책집에 닿아 해바라기를 하고, 옮김빛(번역가) 박중서 님을 오랜만에 만나 두런두런 책수다를 한다. 지난날에는 옮김돌이(남자 번역가)에 엮음돌이(남자 편집자)만 수두룩했다면, 어느덧 옮김순이(여자 번역가)에 엮음순이(여자 편집자)가 부쩍 늘었는데, 지난날에는 굳이 서울에서 안 살고 작은고장이나 시골에서 일한 사람이 많았다면, 오늘날에는 으레 서울이나 서울곁(수도권)에 너무 몰린다. 이웃나라 책은 ‘이웃나라 서울말(표준말)’로만 나오지 않는데 ‘이웃나라 시골말(사투리)’로 나온 책을 ‘우리 나름대로 사투리로 옮기는’ 일꾼은 아주 드물다. 이제는 어깨동무(평등)를 ‘성평등’을 넘어 ‘마을빛·살림빛(지역평등·문화평등)’으로 바라보고 거듭나야지 싶다. 고흥 가는 17시 30분 시외버스를 탄다. 《송이와 꽃붕어 토토》를 읽었다. 일본 그림책에 나오는 ‘나의’란 일본말씨를 안 고치는 사람이 참 많다. 이밖에 ‘-지다·속·-고 있다·것·ㄴ·많은·위·아래’ 같은 옮김말씨도 고쳐야 할 텐데, 언제쯤 우리 책살림은 우리말로 우리 숨결을 담아내는 길에 서려는지.
#田島征三 #とわちゃんとシナイモツゴのトトくん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보리 국어사전’ 편집장을 맡았고, ‘이오덕 어른 유고’를 갈무리했습니다.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습니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