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배움빛 2022.6.21.

숲집놀이터 273. 멍울



어버이도 아이였다. 아이도 어른으로 자란다. 어버이로 서기 앞서 아이로 살던 숨결은 어린날 받은 생채기가 쌓여 멍울이 질 만하다. 그리고 이 생채기나 멍울을 스스로 기쁘게 씻어내어 우리 아이한테 ‘생채기·멍울’이나 ‘근심·걱정·끌탕’이 아닌 ‘오롯이 사랑으로 눈부시게 누리는 삶·살림이라는 오늘 하루’를 보여주고 들려주면서 물려줄 수 있다. 나는 “멍울 능금(또는 보조개 능금)”이 오히려 한결 달콤하다고 느낀다. 멍울(또는 보조개)이 하나도 없는 능금도 달콤하되, 부딪히거나 긁힌 능금은 ‘다친 자리’를 스스로 아물도록 돌보는 숨빛이 피어나기에 우리한테 새록새록 이바지하는구나 싶더라. 어버이가 짊어지는 멍울이란, 아이한테 넘겨주고 싶은 짐이란 뜻이다. 어버이가 기쁘게 달래어 씻어내는 멍울이란, 아이한테 옹글게 사랑씨앗을 건네면서 푸른숲을 보금자리부터 일구는 마음으로 살아가겠다는 뜻이다. 아기는 왜 걸을 수 있을까? 숱하게 넘어지고 다치고 무릎이 깨지더라도, 넘어지거나 다치거나 무릎이 깨진 줄 깨끗이 잊고서 ‘걷는 기쁨’을 누리려는 마음이 눈부시거든. 나는 아이로 살던 지난날, 날마다 어머니·언니·마을 또래·마을 언니·마을 어른한테 숱하게 얻어맞으면서 보냈다. 날마다 신나게 얻어터졌다. 이밖에 둘레 어른·또래·여러 언니가 괴롭히거나 짓밟은 생채기는 책 즈믄(1000) 자락으로 쓸 만큼 넘치지만, 오늘 우리 아이들한테 “너희 아버지는 어려서 신나게 맞고 컸어.” 하고 웃으며 말한다. 이제는 멍울이 아니니까. “에? 왜 때렸대? 할머니도? 큰아버지도?” “응. 그때에는 다들 사랑이 무엇인지 몰랐을 테니까.” “그렇구나. 아버지 애쓰셨어요.” “어, 뭐가?” “그냥. 사랑해요.” “아, 고마워. 사랑합니다.” 나는 나를 괴롭히고 때린 모든 사람을 봐준(용서한) 적이 없다. 그들을 미워하거나 싫어하거나 짜증낸다는 뜻이 아니다. 나는 남을 봐줄 수 없더라. 그들은 그들 스스로를 봐줄 수 있을 뿐이고, 나는 오직 나를 봐줄 수 있을 뿐이더라. 내가 나를 스스로 봐주면서 사랑할 적에, 내 멍울이며 생채기를 스스로 씻으며 어느새 꽃으로 피워 사랑씨앗을 맺고는 아이들 마음에 심을 수 있더라.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