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6.10.

숨은책 672


《나라건지는 교육》

 최현배 글

 정음사

 1975.12.10.



  우리말 ‘열’은 셈으로 치면 ‘10’을 나타내면서, ‘열다’란 낱말을 밝히는 말밑입니다. ‘우리말 ‘온’은 ‘100’을 나타내면서 ‘온누리·온마음·온통’처럼 ‘모두’를 가리키는 말밑이에요. ‘1,000(천)’은 ‘즈믄’이요, ‘10,000(만)’은 ‘잘’이며, ‘100,000,000(억)’은 ‘골’입니다. ‘즈믄’은 ‘즐겁다’에서 말빛을 잇고, ‘잘’은 ‘잘하다’ 같은 데에서 말결을 엿보고, ‘골’은 ‘골머리’에서는 ‘뇌(腦)’를 가리키고 ‘골백번·골짜기·고루·곱다’ 같은 데에서 실마리를 찾습니다. 《나라건지는 교육》은 1963년에 처음 나왔고, 1975년에 손바닥책 “정음문고 101”가 되어 새로 나옵니다. 1960년으로 접어들 무렵 우리나라 배움판이 너무 끔찍하게 배움수렁(입시지옥)에 갇혀서 헤어나지 못한다는 한숨을 짙게 담은 이 책에서는 ‘국민학교 배움수렁’을 다룹니다. 지난날에는 ‘국민학교·중학교’에 들어가는 배움수렁이 훨씬 모질었다지요. 나라를 건지려면 아이들을 책상맡에 앉혀 셈겨룸(시험)을 시키는 짓을 멈출 노릇이지만, 이 대목을 걱정하는 어른이 매우 적습니다. 아이살리기를 미룬다면 나라살리기는 꿈도 못 꿀 테지요.


“아아, 거룩하다. 베스달로찌이는 골 해의 빛이요, 잘 사람의 거울이로다. 1962.2.27. 노고 산방에서 외솔 최 현배 적음”(169쪽)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