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별 달 호호 (2022.6.2.)

― 서울국제도서전 2022 나는별



  혼자 잘난 사람은 없습니다. 모든 사람은 저마다 잘났어요. 혼자만 대단한 사람은 없어요. 모든 사람은 다 다르게 대단합니다. 우리가 마을을 이루거나 고을이며 나라라는 한결 너른 울타리로 살림을 할 적에는 저마다 다르게 잘나고 대단하고 아름답고 훌륭한 빛을 나눈다는 뜻이라고 여길 노릇이라고 느껴요.


  혼자 잘난 사람은 안 배웁니다. 혼자 대단한 사람은 이웃이 들려주는 말에 귀를 기울이기보다 혼자 떠듭니다. 서로 다르게 빛나는 줄 아는 사람은 오순도순 살림을 나누면서 하루하루 새롭게 이야기하지요. 서로 다르게 아름답다고 깨닫는 사람은 아이어른 사이에는 사랑 하나가 있을 뿐, 나이나 몸집이나 돈이나 이름값 따위로 가를 수 없는 줄 알아요.


  2022년 서울도서전을 둘러보면서 “왜 크고작은 칸으로 갈라야 할까?” 아리송했어요. 다 다르게 아름다운 책이라면 큰펴냄터(대형출판사)도 작은펴냄터(소형출판사)도 똑같은 크기인 칸(부스)을 얻어서 꼭 그만 한 자리에 맞게 책을 고르고 뽑고 추려서 놓을 노릇이라고 생각해요. 책잔치(도서전)는 ‘잘난책 자랑질’이 아니라 ‘다 다른 책이 어우러지는 놀이마당’일 테니까요.


  올해에는 유난히 재미없는 자리라고 느껴 일찌감치 떠나려고 하다가 ‘호호아’가 생각났습니다. 옮김빛(번역가) 황진희 님이 새로 낸 책을 막바로 만날 수 있다고 들었거든요. 그러나 ‘호호아’ 이름이 적힌 칸은 없습니다. 왜 없나 하고 한참 빙글빙글 돌다가 ‘나는별’ 칸에 살그마니 책을 놓기만 한 줄 알아차립니다.


  작고 알차며 사랑스러운 ‘나는별’ 그림책은 나라 곳곳 여러 마을책집을 다니면서 늘 봅니다. 곰곰이 생각하자니, 저는 ‘나는별’ 그림책을 으레 여러 고장 다 다른 마을책집에서 하나씩 천천히 장만하면서 읽었어요.


  묵직한 책짐을 짊어지고서 고흥으로 돌아가려던 숲노래 씨는 조금 더 깃들기로 합니다. 이러다가 ‘나는별’ 칸에는 ‘달달북스’가 사이좋게 어깨동무하며 있는 줄 깨닫습니다. 작은펴냄터 둘이 손잡고서 작은펴냄터 한 곳을 품은 셈이로군요. 작기에 서로 바라보고, 작으니 서로 돌보고, 작으면서 서로 반짝입니다.


  우리는 저마다 다 다른 마음과 사랑으로 책을 읽는다고 생각합니다. 겉보기로는 크거나 작을 테지만, 속빛을 헤아린다면 크기란 없이 다 다르게 꽃으로 피어나는 사랑을 줄거리로 여미어서 담을 뿐인 책입니다.


  너울치는 바다는 고요하게 돌아가고. 이 고요한 바다는 다시 너울쳐요. 바다를 낀 인천에서 나고자란 뒤, 바다를 품은 고흥에서 시골내기로 살아가기에, 노상 바다노래를 부릅니다. 사람바다인 책바다 사이에서 ‘나는꽃’이 되어 봅니다.


《우리는 서로의 그림책입니다》(황진희, 호호아, 2022.6.30.)

《별일 없는 마을에 그냥 웜뱃》(이달 글·박지영 그림, 달달BOOKS, 2021.3.20.)

《우리는 단짝》(미겔 탕코/김세실 옮김, 나는별, 2022.6.7.)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