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5.15.
《혼불 1》
최명희 글, 한길사, 1996.12.5.
어제는 ‘우람’을 풀었다. 오늘은 ‘키·칼’을 푼다. 이 낱말이 어떻게 왜 태어나서 여러모로 가지를 뻗어 오늘에 이르렀는가 하는 수수께끼를 거의 짚는다. 처음 글종이에 낱말 하나를 적으면 둘레가 텅 빈 채 덩그러니 있는 듯하지만, 어느새 하나둘 실마리를 찾는다. 하나씩 하면 차근차근 나아간다. 한꺼번에 안으면 무거워 주저앉는다. 작은아이랑 읍내마실을 다녀오는 길에 ‘망설이다’를 놓고 글을 한 자락 써서 건넨다. 망설여도 되지만 굳이 망설여야 할까? 바람이 부드럽고 꽃내음이 짙다. 구름이 물결치고 제비가 하늘을 가른다. 《혼불 1》를 되읽었다. 예전에는 무엇을 느끼고 생각했는지 하나도 안 떠오른다. 워낙 오랜만에 되읽은 탓일 수 있고, 예전에는 ‘인천살이’를 했기에 ‘전주살이·전라살이’를 보낸 삶길을 읽기가 만만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혼불》을 처음부터 새롭게 읽고 보니 《태백산맥》하고 《토지》에 없는 대목이 도드라진다. 최명희 님은 조정래·박경리 두 분과 달리 ‘우리말을 우리말답게 쓰려’고 몹시 애썼구나. 두 분은 일본말씨·옮김말씨하고 일본스런 한자말을 꽤 자주 썼고, 최명희 님은 이런 말씨를 되도록 걷어내려 했다. “우리말로 글쓰기”를 생각한다면 《혼불》이 어울린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