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5.10.
《BOOK TOOLS》
김진섭 글·신규철 사진, 안그라픽스, 2016.4.11.
자전거로 우체국에 간다. 이즈막 남녘은 쏴아아아 소리가 곳곳에 퍼진다. 마늘밭에 풀죽임물을 뿌리는 소리로, 죽음냄새가 가득하다. 풀을 죽이려고 뿌리는 물에는 노래도 웃음도 기쁨도 보람도 사랑도 없다. 풀죽임물을 뿌리는 논밭에서는 들노래도 들놀이도 없고, 아이들도 없다. 나라(정부)하고 흙두레(농협)는 이 대목을 안 쳐다본다. 왜 어린이하고 젊은이가 재빨리 시골을 등졌는가? 지난날에는 왜 시골에 아이어른이 바글바글 얼크러질 수 있었는가? 콩 석 알을 심어 새·벌레·사람이 고루 나눌 뿐 아니라, 고되다는 일을 하더라도 늘 노래춤이 함께였고, 아이어른이 나란히 앉는 이야기밭을 늘 스스로 지었다. 다시 말하자면 ‘살림(문화)’이 언제나 시골에 가득했기에 사람도 넘실거렸다. 오늘날 시골에 살림(문화)이 있는가? 살림 없는 시골에 누가 살고 싶겠나? 하늘도 별도 잊은 시골에 젊은이가 안 가고 싶을밖에 없다. 《BOOK TOOLS》를 읽다가 예전에 삼례책마을에 가서 본 어마어마한 책틀(인쇄기)이 떠올랐다. 책마을이 잊었어도 안 잊은 일꾼이 있어서 놀랐다. 그래, 나라에서는 살림을 잊거나 뭉개거나 버린다. 우리 스스로 일꾼이 되어 손수 가꾸고 돌보며 북돋을 노릇이다. 스스로 노래하고 춤추면 스스로 살리며 사랑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