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5.5.
《개미 세계 탐험북》
국립생태원 엮음, 강은옥 그림, 국립생태원, 2015.11.23.
밀린 잠을 모처럼 느긋이 누린다. 어제 읍내 가게에 깜빡 놓고 나온 어깨짐을 찾으러 저녁에 다시 읍내로 간다. 어깨짐을 찾으며 이 가게에 노래꽃(동시)을 새로 써서 내려놓고 집으로 온다. 오늘 어린이날을 맞이해 노래꽃 ‘숲빛노래(생명 동시)’를 쓴다. 곰하고 범 이야기부터 쓴다. 서울사람 틀거리에 짜맞추는 억지스러운 동심상업주의가 아닌, 들숲바다를 품고서 하늘빛으로 살림을 짓는 이웃숨결 눈빛으로 노래꽃을 쓰려고 한다. 집에 닿아 다시 일찌감치 곯아떨어진다. 바깥일을 볼 적에는 더 일찍 일어나서 낮잠이 없이 몸을 쓰니 어둑살이 낄 무렵이면 벌써 졸립다. 《개미 세계 탐험북》을 작은아이한테 장만해 준다. 개미를 다룬 책은 그리 많지 않다. 개미가 워낙 작으니 개미를 지켜본 이야기를 쓰는 사람이 드물기도 할 테지만, 개미를 오롯이 개미로 바라보려는 사람부터 드물다. 참새는 참새 마음이 되어 마주해야 참새살림을 배우겠지. 개구리는 개구리 마음이 되어 만나야 개구리살림을 배울 테고. 골목사람은 골목사람 마음이 되어 사귀어야 골목살림을 배운다. 벼슬꾼(정치꾼·공무원)을 보라. 그들은 마을사람 마음도 가난사람 마음도 아닌 벼슬꾼 마음이기에 늘 엇나가거나 헛발질이다. 아이를 사랑하려면 아이 마음일 노릇이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씁니다. “말꽃 짓는 책숲, 숲노래”라는 이름으로 시골인 전남 고흥에서 서재도서관·책박물관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