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말빛 2022.5.17.

나는 말꽃이다 85 순이돌이



  둘레(사회)에서 쓰는 말은 ‘옳지도 안 옳지도 않다’고 느낍니다. 그저 둘레말(사회용어)이에요. ‘좋지도 나쁘지도 않’아요. 언제나 둘레말이기만 합니다. ‘남녀’란 낱말은 한자로 가리키는 둘레말입니다. 이 한자말을 쓰면 “한자로 두 사람을 가리키는 터전이나 살림”을 느낄 테지요. 그냥그냥 쓸 수도 있으나, 이 말씨를 그대로 따라갈 적에는 ‘한자가 없이 누구나 수수하게 우리말을 주고받으며 생각을 펴고 가꾸고 물려받던 나날’에는 어떤 말씨로 어떻게 이웃으로 지내며 사랑을 속삭였는가 하는 대목을 놓칩니다. ‘남녀·선남선녀·장삼이사’는 ‘한자로 삶을 그리던 옛사람이 지은 말’입니다. 우리는 우리 나름대로 우리 살림을 돌아보면서 ‘오늘 우리 삶으로 지을 말’을 나눌 수 있어요. 한때 ‘공순이·공돌이’라며 수수한 일꾼을 얕보는 이 나라였는데, ‘책순이·책돌이’라든지 ‘숲순이·숲돌이’라든지 ‘놀이순이·놀이돌이’처럼 사랑을 담아 살려쓸 만합니다. ‘사랑순이·사랑돌이’도 어울려요. 수수하게 숲을 품는 슬기로운 빛이라 ‘순이(여성)’요, 동글동글 돌보는 동무 숨빛을 품는 빛이라 ‘돌이(남성)’예요.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