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만의 (책)방 - 공간욕 먼슬리에세이 4
이유미 지음 / 드렁큰에디터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2022.5.15.

읽었습니다 137



  “행복하셔요?” 하고 묻는 이웃님이 늘어납니다. “전 ‘행복’이란 뜬구름 같은 말은 안 씁니다.” “‘행복’을 생각하지 않는다고요?” “우리말로 하자면 ‘즐거움’이나 ‘기쁨’ 가운데 하나일는지 모르지만, 요새는 으레 ‘좋다’라는 뜻으로 ‘행복’이란 한자말을 쓰는 듯해요. 그러나 저는 좋은 일도 나쁜 일도 아닌, 그저 제가 나아갈 길을 바라보며 오늘을 지을 뿐이라, 제 삶은 늘 삶일 뿐 ‘행복·불행’이란 낱말로 그릴 수 없어요.” 아직 안양에 발디딘 적이 없어, 고흥에서 안양마실을 할 날을 그리다가, 마음으로 먼저 가면 된다고 여기며 《자기만의 (책)방》을 읽었습니다. 글님은 마을책집 〈밑줄서점〉을 가꾸는 길을 걷습니다. ‘길다’에서 태어난 ‘길’일 수 있고, ‘길’에서 태어난 ‘길다·길이’일 수 있습니다. 말밑인 ‘기’는 ‘키’하고 맞닿으며, ‘기르다·키우다’가 나란해요. 삶을 사랑하려는 살림길이니, 둘레가 아닌 하루를 보면 늘 빛나리라 생각합니다.


《자기만의 (책)방》(이유미 글, 드렁큰에디터, 2020.9.7.)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