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우리말

얄궂은 말씨 726 : 말 언어 기본 생활 가능



언어(言語) : 생각, 느낌 따위를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에 쓰는 음성, 문자 따위의 수단. 또는 그 음성이나 문자 따위의 사회 관습적인 체계

인간(人間) : 1. 언어를 가지고 사고할 줄 알고 사회를 이루며 사는 지구 상의 고등 동물 2. 사람이 사는 세상 3. 사람의 됨됨이 4. 마음에 달갑지 않거나 마땅치 않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기본(基本) : 사물이나 현상, 이론, 시설 따위를 이루는 바탕 ≒ 기근

생활(生活) : 1. 사람이나 동물이 일정한 환경에서 활동하며 살아감 2. 생계나 살림을 꾸려 나감 3. 조직체에서 그 구성원으로 활동함 4. 어떤 행위를 하며 살아감. 또는 그런 상태

가능(可能) : 할 수 있거나 될 수 있음



한자말 ‘언어’는 우리말 ‘말’을 가리킵니다. “말 언어”는 “말 말”인 셈이니 겹말입니다. 사람은 말만 하여도 이럭저럭 살아간다지요. 말을 하기만 하면 웬만큼 살 수 있다고 하고요. 보기글은 임자말이 ‘인간의 기본 생활은’인 셈인데, 토씨 ‘-의’를 넣어 말결이 뒤틀렸습니다. ‘사람은’을 임자말로 첫머리에 넣거나 덜어내고, 풀이말을 ‘산다·살아간다’나 ‘살 수 있다’로 맺고서, 사이에 몸말로 ‘말만으로도 이럭저럭’이나 ‘말만 해도 웬만큼’으로 손질합니다. ㅅㄴㄹ



‘말 언어’만으로도 인간의 기본 생활은 가능하다

→ 사람은 말만으로도 이럭저럭 산다

→ 말만 해도 웬만큼 살 수 있다

《혁명노트》(김규항, 알마, 2020) 17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