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4.17.

숨은책 657


《1987년 도시빈민 철거투쟁 자료집》

 편집부 엮음

 기독교도시빈민선교협의회·천주교도시빈민회·한국교회사회선교협의회

 1988.4.



  이웃나라 일본은 ‘무엇이든 잘 적어 둔다’고 하는데, 우리도 ‘적기까지는 잘 합’니다. 다만, 우리는 ‘적은 이야기를 건사하거나 갈무리할 손길’이 매우 모자랍니다. 일본은 새책집 못지않게 헌책집이 많아요. 손길을 타면서 살아남을 책을 헤아리는 눈빛이 밝다는 뜻입니다. 우리는 새책집에 대면 헌책집이 턱없이 적습니다. 그렇다고 책숲(도서관)이 넉넉하지도 않을 뿐더러, 우리나라 책숲은 빌림손(대출실적)이 적으면 책을 마구 버려요. 《1987년 도시빈민 철거투쟁 자료집》은 쓰레기통에서 건진 낡은 꾸러미입니다. 열린배움터(대학교)를 그만두기는 했되, 새벽에 새뜸(신문)을 다 돌리고서 마을 곳곳에 버려진 종이꾸러미를 뒤져서 책을 추슬렀고, 열림배움터 학생회관 쓰레기통을 뒤져 책이나 이런 꾸러미를 주워서 읽었습니다. 주머니가 가난하니 눈치 볼 일이 없습니다. 더구나 이런 꾸러미(비매품)는 책숲에 없는걸요. 묵은 꾸러미는 ‘골목사람(도시빈민)’이 엮지 않았습니다. 글바치(시민단체 간사·대학생)가 엮었어요. 글바치하고 골목사람은 쓰는 말이 다릅니다. 골목사람은 골목(구도심·재개발 예정지)이 삶터이지만, 글바치는 골목이 아닌 잿빛집(아파트)이 삶터입니다. 책 하나 간수하는 눈빛이 얕은 우리나라이니, 마을 하나 보살피는 손빛은 더더욱 얕을 테고, ‘조지 오웰’이 없는 나라이기도 합니다.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을 꾸리는 사람. 《쉬운 말이 평화》, 《곁말》, 《곁책》,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우리말 동시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읽는 우리말 사전 1·2·3》 들을 썼다. blog.naver.com/hbooklov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