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장 속 티타임 - 언제 보아도 좋은 달콤한 영국동화 이야기
기타노 사쿠코 지음, 강영지 그림, 최혜리 옮김 / 돌베개 / 201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숲노래 책읽기 2022.3.19.

인문책시렁 215


《책장 속 티타임》

 기타노 사쿠코

 강영지 그림

 최혜리 옮김

 돌베개

 2019.2.28.



  《책장 속 티타임》(기타노 사쿠코·강영지/최혜리 옮김, 돌베개, 2019)은 영국에서 태어난 글꽃에 깃든 먹을거리를 둘러싼 이야기를 찾아나서는 줄거리를 들려줍니다. 우리나라도 일본도 영국하고 다르게 마련이라, 밥살림도 달라요. 영국사람으로서는 투박한 먹을거리일지라도 우리로서는 낯설 뿐 아니라 궁금할 만합니다.


  우리나라 글꽃에 깃든 먹을거리도 이웃나라 사람한테는 낯설면서 궁금할 테지요. 그런데 밥살림 이야기는 ‘이 밥을 손수 지어’ 보아야 비로소 글꽃에 담아낼 만합니다. 나무로 불을 때어 아궁이에서 솥밥을 지어 보지 않고서 ‘아궁이밥’이 뭔지, ‘솥밥’이 뭔지, 하나도 못 그려요. 글로 시늉은 낼 테지만, 불을 때면서 퍼지는 냄새에 이마를 타고 흐르는 땀방울, 또 아궁이에서 번지는 불에 이글거리는 낯, 불빛이 없는 부엌에서 바삐 움직이다가 아기를 보고, 아이들을 살피는 눈길이 밥 한 그릇에 고루 서립니다.


  전기밥솥에 쌀을 넣고서 단추만 척 누르면 끝나는 밥을 하더라도, 쌀알을 그릇으로 옮겨서 한 톨씩 손가락 사이로 느끼며 살살 젓고서 쌀뜨물을 내고, 이 쌀뜨물로 된장국이나 김치찌개를 끓인다든지, 이 쌀뜨물로 빨래를 한다든지, 이 쌀뜨물로 나중에 설거지를 한다든지, 이 쌀뜨물을 꽃이나 나무한테 준다든지, 얼마든지 어느 곳에서라도 밥살림 이야기에 밥내음이 피어나는 결을 담을 만합니다.


  아주 조그마한 자리를 눈여겨보면서 침을 꿀꺽 삼키던 글님은 스스로 ‘영국 밥살림’이나 ‘영국 주전부리’를 찾아나서기로 했다지요. 글 몇 줄 또는 글 몇 마디만으로는 도무지 궁금한 대목을 풀 길이 없을 테니까요. 어떠한 땅이며 터전에서 어떠한 햇볕을 쬐면서 자라는 들살림을 어떠한 손길로 건사해서 어떠한 살림집에서 어떠한 세간을 다루면서 어떻게 차려내었는가를 몸소 느껴 보아야 ‘영국 글꽃에서 마주한 밥 한 그릇’을 마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겠다고 생각했구나 싶습니다.


  푸른별 모든 곳에 고르게 흐르는 바람입니다만, 우리나라 바람하고 이웃나라 바람은 다릅니다. 전남 고흥조차 읍내하고 마을 바람이 다르고, 바닷가랑 멧기슭이랑 들이랑 마당에서 맞이하는 바람이 다릅니다. 서울바람하고 제주바람도 마땅히 달라요. 이 다른 바람결을 느낀다면, 다 다른 사람들이 다 다른 살림을 지으면서 스스로 일군 다 다른 사랑을 글 한 줄에서도 읽을 만합니다. 옮김말은 매우 일본말씨·옮김말씨스러워서 안타깝긴 했습니다.


ㅅㄴㄹ


함께 둘러앉아 식사하고 차를 마시면서, 비버 부부와 아이들은 방금 만난 사이일 뿐인데도 어느새 힘을 모아 하얀 마녀에게 맞서 나니아를 되찾겠다는 강한 동지의식을 갖게 됩니다. (22쪽)


《비밀의 화원》에는 미셀스웨이트 저택의 요리사들이 만든 음식과 디콘네 같은 농민이 먹는 음식이 영국 계급사회를 드러내듯 대조적으로 등장합니다. (61쪽)


다른 누구도 아닌 자신을 위해, 사랑하는 정원을 위해 쓴 작품이기에, (133쪽)


영국에서 남자아이에게 흔히 붙이는 이름인 ‘피핀’은 접목이 아니라 종자를 통해 생겨난 사과 품종을 가리킵니다. (161쪽)


5월에 영국 시골의 숲을 걷다가 희고 작은 선갈퀴꽃이 융단을 깔아 놓은 듯 어지러이 피어 있는 광경과 마주한 일이 있습니다. (176쪽)


#物語のティ-タイム #お菓子と暮らしとイギリス兒童文學 #北野佐久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