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2.1.18.


《세상의 많고 많은 빨강》

 로라 바카로 시거 글·그림/김은영 옮김, 다산기획, 2021.11.15.



귤을 쪼는 직박구리와 눈이 마주친다. “너 쪼아먹으라고 놓았어. 걱정 말고 쪼아먹어.” 사람이 문득 내다볼 적에 마주쳐도 돼. 우리랑 눈이 안 마주치고 조용히 쪼고 싶으면 조용히 쪼다가 가면 돼. 이웃님이 배꼽귤(제주 한라봉)을 보내 주셨다. 스토리닷 지기님이 책을 다섯 꾸러미 보내 주셨다. 산들보라 씨랑 손수레에 책짐을 그득 싣고 우리 책숲으로 나른다. 《세상의 많고 많은 빨강》에 여우가 나오기에 장만해서 푸른씨한테 보여주었더니 “붉은여우만 있지 않은데, 사람들은 여우라 하면 붉은여우만 생각해.” 하고 얘기한다. 그래, 붉여우에 흰여우가 있고, 붉딸에 파랑딸이 있지. 붉은꽃만 있지 않고 흰꽃에 노랑꽃에 빨강꽃이 있을 뿐 아니라, 푸른꽃도 있어. 온누리에는 온갖 빛깔이 있다. 이 가운데 붉게 물드는 빛이란 무엇일까. ‘붉다’란 우리말은 ‘불’이 밑말이다. ‘불’은 ‘불다·붇다·부피’하고 맞물리고 ‘푸근·포근’이며 ‘품·풀·풋’하고도 잇는다. 그저 하나인 빛깔은 없다. 우리말로는 ‘불빛’하고 ‘풀빛’이 맞닿는 줄 헤아린 적이 있는 요샛사람은 얼마나 될까? 스스로 푸르게 살아가면서 붉게 물드는 하늘을 한껏 누리던 지난날 흙사람이며 숲사람이며 바닷사람은 모든 수수께끼를 스스로 짓고 알았다.


#red #LauraVaccaroSeeger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