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어제책 2022.1.29.

숨은책 612


《佛敎 第三十七號》

 권상로·최남선 엮음

 불교사

 1927.7.1.



  “범은 죽어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 이름을 남긴다”는 옛말을 들려주던 어른들이 영 마뜩찮은 어린 나날입니다. 지난날 어른들은 아이들한테 “이름을 남길 일을 해야 사람”이라고 가르쳤습니다. 굳이 ‘이름을 남길 사람’이 되어야 하나 싶어 쀼루퉁했고, 범 같은 숲짐승을 고작 가죽붙이로 여기는 눈길이 못마땅했습니다. 그러나 이 옛말은 잊히지 않아요. 어린 나날 듣던 옛말을 다시 새겨 본다면 ‘우두머리(권력자)만 이름을 남기는 판’이 아닌, ‘아이하고 숲을 사랑하는 사람 누구나 서로 이름을 부르며 어깨동무하는 길’을 지으면 아름답겠다고 생각합니다. 《佛敎 第三十七號》는 1927년 아닌 ‘昭和二年’에 나온 작은 달책(잡지)입니다. ‘大正十三年’에 첫걸음을 떼었다지요. 겉도 속도 온통 새까맣게 한자에 한문입니다. “崔南善 先生 解題, 海東高僧傳·大東禪敎考”라 적은 벼리(차례)를 보건대, 서슬퍼렇던 지난날 권상로·최남선 두 사람이 절빛(불교)을 일구려던 땀방울이 밴 자취가 이름으로 남은 셈이기도 하겠으나, 흙을 짓고 아기를 돌보며 젖을 물리던 수수한 사람들은 도무지 읽을 길이 없는 글짓기를 하던 모습을 엿볼 만하기도 합니다. 어쩔 길이 없어 ‘昭和·大正·大日本’이란 이름을 꼭 써야 했을까요?


“다만大東禪敎考는 大日本續藏經에入刊되엇스나 누에게드려서던지 朴永善(竹尊)의撰이라한것은 誤니라.”(32쪽)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