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가운데 (2021.7.9.)

― 인천 〈문학소매점〉



  일본이 총칼로 우리나라에 쳐들어와서 억누를 적에, 고장마다 ‘중구·동구·서구·남구·북구’로 가른 이름을 썼습니다. 그들이 사는 곳은 으레 ‘중구’였습니다. 그들이 차지한 나라에서 어느 고장에 밀려들어 마을을 바꾸려 하며 ‘총칼잡이를 가운데에 둔’ 셈입니다. 인천이나 부산을 가만히 보면 ‘중구가 가운데가 아니라 할’ 만합니다. 지난날에는 인천도 부산도 그리 안 넓었습니다. 조그마한 고장이 차츰 넓게 뻗자 ‘가운데 아닌 왼쪽’에 치우친 자리인데 ‘중구’요, 오른쪽 아닌 왼쪽이나 가운데에 있는데 ‘동구’란 이름입니다.


  ‘동서남북’도 ‘구(區)’란 이름도 걷어치울 만합니다. 일본 총칼(제국주의) 찌꺼기이거든요. 인천 남구는 ‘미추홀’로 이름을 고쳤습니다. 인천 동구라면 ‘배다리’로, 인천 중구라면 ‘싸리재’로 고칠 만합니다. ‘미추홀골·배다리골·싸리재골’ 같은 이름이 어울려요. ‘골←區’입니다.


  동쪽이 아닌 ‘동인천역’하고, 밑쪽이 아닌 ‘하인천역(인천역)’ 사이에 깃든, 가운데 아닌 ‘중구청’ 곁에 〈문학소매점〉이 태어났습니다. 인천은 이 둘레를 ‘문화관광특구’처럼 내세우지만, 막상 중국집하고 장삿집을 빼면 알맹이가 없습니다. 더구나 일본스러운 껍데기로 꾸미고서 ‘근대문화유산’이라 하더군요.


  우리는 새마을바람이 일기 앞서까지 인천조차 ‘풀집(초가)’이 있었습니다. 일본 총칼잡이가 세운 집도 ‘근대문화유산’에 넣을 만하지만, 이 작은고장에서 손수 집을 짓고 살림을 돌본 수수한 사람들이 돌본 골목마을하고 골목집이야말로 ‘근대문화유산’이라고 느껴요. 하루에 대여섯 벌씩 골목을 슥슥 쓰는 할매할배 몽당빗자루야말로 ‘근대문화유산’이 아니고 무엇일까요.


  골목집은 여름에 덥고 겨울에 춥습니다. 그리고 작고 좁아요. 골목아이는 여름겨울 안 가리고 ‘덥고 추운 집’에서 빠져나와 골목을 달리면서 놉니다. 인천 벼슬꾼(공무원)이 책상맡에서 일하지 않는다면, 스스로 골목사람으로 살며 골목빛을 헤아린다면, 이곳은 천천히 빛나는 살림터로 나아갈 만합니다. 책도 이와 같아요. 글보람(문학상)을 받아야 글꽃이지 않아요. 오늘 이 터전을 사랑하는 눈빛으로 가다듬은 글을 차곡차곡 여미기에 글꽃입니다.


  글(문학)도 살림(문화예술)도 없이 시끌벅적한 허울뿐이던 인천 가운데(중구) 아닌 싸리재골 한켠에 조촐히 골목꽃을 돌보며 골목책집으로 이어가는 〈문학소매점〉이리라 생각합니다. 책이란 대단하지 않습니다만, 숲하고 사람 사이에 살그머니 있는, ‘사이’라서 얼결에 ‘가운데’에 있는, 멋스런 이야기꾸러미입니다.


ㅅㄴㄹ
















《모던인천 시리즈 1 조감도와 사진으로 보는 1930년대》(김용하·도미이 마사노리·도다 이쿠코 엮음, 토향, 2017.8.15.)

《소설가의 사물》(조경란, 마음산책, 2018.8.25.)

《살려고 서점에 갑니다》(이한솔, 이한솔, 2020.11.8.)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곁책》, 《쉬운 말이 평화》,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