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오늘책

오늘 읽기 2021.11.24.


《농적 삶을 위한 사유》

 서성열 글, 좋은땅, 2021.4.28.



시골버스를 타고 읍내를 다녀오려는데, 이웃 면소재지를 지날 무렵, 이 마을 어린배움터 아이들이 시끄럽고 자잘한 말소리로 떠든다. 도란도란 이야기가 아니다. 거칠고 막된 말씨가 잔뜩 섞여 시끄럽다. 이 아이들은 이 말씨를 누구한테서 듣고 왜 고스란히 따라할까? 거칠고 막된 말씨를 쓸수록 잘난척이 아닌 갉아먹기가 되는 줄 하나도 모르지 싶다. 아마 배움터 길잡이나 집안 어른 누구도 이 말씨를 다스려 주지 못하지 싶다. 이 아이들은 무엇을 보고 듣고 말하고 느끼는가? 시골아이뿐 아니라 서울아이도 말이 찌들고 죽는다. 배움터를 다닐수록, 또 일터를 다닐수록, 사람들 말씨는 상냥하거나 아름답기보다는 미움과 짜증이 가득 담긴 사납말로 흐른다. 나라지기가 되겠다는 이들뿐 아니라, 감투를 쓴 모든 어른이란 이들을 보라. 아름말이 어디에 있는가? 《농적 삶을 위한 사유》를 읽으며 여러모로 한숨이 나왔다. 책이름을 이렇게 붙여서야 누가 읽을까? 배운 티를 내서야 배운 사람일까? 배운 티는 고개숙이는 벼처럼 드러내야 하지 않을까? 익은 벼가 고개를 숙인다는 옛말은, 배울수록 어린이한테 더 다가서고 시골 할매하고 어깨동무하는 말씨로 간다는 뜻이다. 별이 흐르는 밤에 별빛을 보며 생각을 다스린다.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