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2021.11.15.
헌책집 언저리 : 큰나무 사이로
집만 덩그러니 세운 곳은 아직 ‘마을’이란 이름이 어울리지 않습니다. 오랜 우리말에 ‘숲정이’가 있습니다. 마을을 포근히 두른 숲을 ‘숲정이’라 합니다. 큰나무가 우거지며 집집을 푸르게 덮을 적에 비로소 ‘마을’입니다. 아직 나무가 집집을 덮지 않으면 ‘벌판’입니다. 서울이든 큰고장이든 들숲을 밀어내어 집만 잔뜩 올리고 길만 크게 닦기 일쑤였어요. 열 해 남짓은 벌판이라 할 만할 텐데, 열다섯 해를 지나고 스무 해를 지나며, 서른이며 마흔이란 나날을 살아낼 뿐 아니라, 쉰이며 예순을 가로지르는 사이에 비로소 ‘마을’이 됩니다. 곰곰이 보자면, 한자말로 가리키는 ‘고향’이라는 내음이 퍼지기에 ‘마을’이라 할 만해요. 아직 벌판일 적에는 아이어른 모두 고단하거나 심심합니다. 나무가 우거지고 곳곳에 들꽃이 피면서 새가 찾아들어 지저귀고 풀벌레가 깃들어 울 적에 어느덧 ‘마을스럽네’ 싶어요. 오랜마을에 오랜책집이 있고, 이 책집 앞을 마을아이가 달려서 지나갑니다. 달려서 지나가던 아이가 문득 멈춰서 묻습니다. “아저씨, 여기서 뭐 해요?” “응? 이 책집을 찰칵 하고 그림으로 담아.” “책집? 아, 여기! 난 오늘 심부름 가는 길이라, 이다음에 들러 봐야겠다. 아저씨, 잘 찍으세요!”
.
ㅅㄴㄹ
.
* 사진 : 연남서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