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내려놓지 못하는 (2021.8.19.)

― 서울 〈숨어있는 책〉



  요새는 못 듣다시피 하지만, 2000년 언저리까지 ‘개미집’이란 말을 곧잘 들었습니다. 책이 가득한 헌책집을 오래도록 즐겨찾는 할배는 “개미집에 들어가면 빠져나오지 못해. 그런데 그 개미집에 빠져들고 싶단 말이야.” 하면서 빙그레 웃곤 했어요. 단골로 드나드는 헌책집에서 으레 마주치는 책할배는 한글 없이 일본글로만 책을 읽어야 하던 무렵 이야기를 이따금 들려주었고, “일본이란 나라는 무서우면서 상냥한 데가 있어. 칼을 쥔 이는 마냥 사납지만은 않아.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벼슬을 잡은 이들은 그저 서슬퍼렇게 굴지. 그 나라가 칼만 휘둘렀다면 이런 책을 낼 수 있을까? 우리는 아직 엄두도 못 내는 책을 그 일본은 진작부터 펴내어 배우려고 했어요.” 하는 이야기도 들려주었습니다.


  책할배 이야기를 들으며 고개를 끄덕이기도 하지만, 고개를 갸웃하기도 했습니다. 다만 제 몸은 오늘 이곳에 있을 뿐, 1930∼40년이라는 그곳을 살지는 않았기에 책할배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면서 곰곰이 생각해 보았어요. 1920년이나 1820년에 글도 붓도 모르는 채 호미랑 부엌칼을 쥐고서 흙을 짓고 아이를 돌본 수수한 순이돌이가 어떻게 삶을 짓고 말을 폈을까 하고 그립니다. 1720년이나 1320년이나 420년이라는 때에, 또 몇 즈믄 해 앞서 이 땅에서 살림을 가꾸던 옛사람은 어떠한 마음씨랑 눈길로 아이를 바라보고 오늘을 마주했을까 하고도 그립니다.


  헌책집에서는 갓 나온 책도 제법 만나지만, 묵은 책을 한가득 만납니다. 제가 태어나기 앞선 때에 태어난 책을 수두룩하게 만집니다. 살아내지 않은 지난날이나 이웃나라 터전을 다룬 책을 만지작만지작하면서 ‘이 책하고 함께살던 사람들 숨빛’을 헤아립니다. 〈숨어있는 책〉은 틀림없이 “개미집 헌책집” 가운데 하나입니다. 이곳에 살며시 발을 디디면 “아! 이 책을 만지작거리기만 하고서 내려놓지는 못하겠어. 살 수밖에 없겠어.” 하고 생각합니다.


  한 자락 두 자락 책더미가 늘어납니다. 이 숱한 책은 어떤 삶을 들려주고 싶기에 저한테 찾아올까요. 이 온갖 책은 어떤 살림빛을 밝히고 싶기에 제 눈에 들어올까요. 총칼을 쥐고서 으스대다가 스러진 벼슬꾼 자취가 묻은 책을 폅니다. 들꽃을 쓰다듬는 투박한 손때가 깃든 책을 쥡니다.


  모든 책은 삶입니다. 오늘을 살아내어 모레를 그리는 눈망울을 담은 이야기가 책으로 흐릅니다. 모든 책은 길입니다. 어제를 되새기고 오늘을 다독이는 손빛에 담긴 이야기가 책으로 퍼집니다. 여름이 저물어 갑니다. 우리 시골집에는 풀벌레하고 개구리가 신나게 노래잔치를 벌이겠지요. 서울 한켠에서 푸른노래를 그립니다.


ㅅㄴㄹ


《自由와의 契約 第一部》(五味川純平/김율봉 옮김, 백문사, 1960.2.5.)

《북한기행》(피터 현/금성철·박윤희 옮김, 한진출판사, 1980.8.5.)

《手工敎育學原論》(鈴木定次, 同文館, 1928.9.25.)

《Tales Fron Korea》(Y.T.Pyun(변영태), 일조각, 1936.4./1960.4.10.)

《소용돌이치는 그 밑바닥에 있는 것》(粕谷甲一/임채정 옮김, 성바오로출판사, 1967.12.5.)

《韓國의 氣候와 植生》(차종환·이우철·이순애, 서문당, 1974.12.15.)

《抗日宣言·倡義文集》(김구 외/유광렬 엮음, 서문당, 1975.8.5.)

《아동백과사전》(아동백과사전 편찬회, 평문사, 1964.11.1.)

《韓國農村社會踏査記 (1946年》(鈴木榮太郞/이대사회학과 옮김, 이대출판부, 1961.3.20.)

《原子力에 대한 知識人과의 對話》(편집부 엮음, 한국원자력산업회의, 1988.5.)

《the Seoul food guide》(Betsy O'Brien, Hollym, 1994.)

《新版·朝鮮要覽》(現代朝鮮硏究會 엮음, 時事通信社, 1978.8.10.)

《'87년 대비 국내 200대 기업 채용 정보, 채용리포트》(편집부 엮음, 아리오, 1983.9.27.)

《기능장 문제집 (소년대·연장대)》(최종덕 엮음, 한국보이스카우트연맹, 1973.4.1./1980.3.25.8판)

《所感》(內村鑑三/최운걸 옮김, 설우사, 1974.11.15.)

《그림과 글씨》(최완수,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4.3.25.)

《地下鐵문고 7 世界三大宗敎의 智慧와 理解》(편집실 엮음, 대양출판사, 1980.3.10.)

《白鹿論叢 4 朝鮮巫俗考》(이능화/이재곤 옮김, 백록출판사, 1976.4.24.)

《From the streets to the Olympics》(강형원, 아트스페이스, 1989)

《television, the first fifty years》(Jeff Greenfield 엮음, Abrams, 1977)

《훌륭한 웃사람이 되는 길》(W.R.반.더살/이문영 옮김, 탐구당, 1964.9.10.)

《軍隊の歷史》(ジョルジュ·カステラン 글/西海太郞·石橋英夫 옮김, 白水社,1955.2.5.)

《韓國의 方言》(최학근, 중앙일보, 1981.3.30.)

《콩트, 여름소설》(정호승·김병희 엮음, 동아일보사, 1983.7.1.)

《現代人과 茶, 茶를 즐기는 길》(최규용, 중앙인쇄문화사, 1981.4.20.)

《民藝 테마에세이 文庫 4 산》(이주홍 외 31사람, 민예사, 1980.4.15.)

 테마만 고르십시요. 원하시는 게 다 있읍니다”

《박정희 할머니의 육아일기》(박정희, 한국방송출판, 2001.4.20.)

《압록강 아이들》(조천현, 보리, 2019.6.15.)

《장벽을 넘는 사람》(페터 슈나이더/서용좌 옮김, 들불, 1991.2.20.)

《チキタ GUGU 5》(TONO, 光邦, 2012.2.28.)

《살림 28호》(이정희 엮음, 한국신학연구소, 1991.3.1.)

《아베롱의 野生少年》(Jean.M.G.이따르/김정권 옮김, 형설출판사, 1984.8.20.)

《snapshots, a season in Korea》(Carol E.Camp, Pageant press, 1956.)

《책 어린이 어른》(폴 아자르/석용원 옮김, 새문사, 1980.4.30.)

《外國語ねの學び方》(渡邊照宏, 岩波書店, 1962.10.6./1976.6.10.19벌)

《TM 30=533 CHINESE Military Dictionary》(War Department, 1944.5.26.)

《큐바와 카스트로》(제임스 모나한·케네스.O.길모어/주영관 옮김, 탐구당,1964.7.5.)

《첼카슈·大草原》(고리끼/윤옥 옮김, 한진출판사, 1980.9.30.)

《소크라테스의 행복》(송건호, 동광출판사, 1979.10.15.)

《韓國―霧幕后的國家, 劉鵬輝·鄭信哲, 世界知識出版社, 1995.1.)

《Listening for Coyote》(William L.Sullivan, William Morrow & com, 1988.)

《Elephanta, the cave of Shiva》(Camel Berkson 사진, Wendy Doniger O'Flaherty·George Michell·Camel Berkson 글,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3.)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곁책》, 《쉬운 말이 평화》,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