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어린이 쉼터 (2021.5.11.)

― 인천 〈그림책방 오묘〉



  굴포천이란 이름인 냇물 곁을 가로지르다가 발길을 멈춥니다. 사람들이 드나들지 않도록 해놓은 냇가는 짙푸릅니다. 그저 그대로 맑고 빛납니다. 나라 곳곳에서는 냇둑을 쌓고 무슨무슨 길을 깔고 이런저런 놀이틀·몸틀(운동기구)을 들이는데, 어느 하나도 할 까닭이 없습니다. 우리가 스스로 걸으면 오솔길이 나요. 우리가 풀꽃나무랑 한마음이 되면 풀꽃나무하고 싱그러이 숨결을 나눕니다.


  책이나 배움터로 가르쳐야 하지 않습니다. 우리 살림집이 “숲을 품은 집”인 ‘숲집’이면 됩니다. 따로 책을 펴거나 애써 배움터를 오가야 듣거나 읽는 이야기라면 몸으로도 마음으로도 새기지 못하기 마련이에요. 늘 곁에 두면서 함께 놀고 일하고 노래하고 쉬는 때라야 즐겁게 맞아들여 한동아리입니다.


  인천에서 나고자라는 동안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쉬면서 하루를 돌아볼 수 있는 빈터가 이 고장에는 없다”고 느꼈습니다. 어릴 적에는 어디나 놀이터로 삼으면서 살았고, 어른들 꾸지람을 들으면서 골목이며 바닷가이며 갯벌이며 둠벙이며 풀밭이며 우람나무이며 신나게 달리고 뛰고 타면서 지냈어요. 그런데 나이를 먹으면 먹을수록 거의 모두라 할 곳이 “어른이 돈을 치러서 누리는 곳”이로구나 싶더군요.


  요즈음은 달라졌으나 1993년까지 푸른배움터를 다니며 만난 책숲(도서관)은 허울만 좋았어요. ‘수렁칸(입시생 독서실)’이었거든요. 갖춘 책마저 허술했습니다. 이와 달리 배다리 헌책집하고 〈한겨레문고〉 같은 새책집은 눈길을 틔울 책이 가득했습니다.


  복닥거리는 큰길을 걷다가 〈그림책방 오묘〉로 들어섭니다. 책집으로 들어서니 호젓합니다. 시끌거리는 부릉이 소리가 사라지고, 차분하면서 부드러이 바람이 붑니다. 예나 이제나 생각하기를, 큰고장에서 어린이하고 푸름이가 느긋이 머물면서 쉴 곳이란 책집뿐이지 싶습니다. 책집에서는 가볍게 수다를 할 만합니다. 이제는 퍽 달라졌어도 아직 책숲(도서관)에서는 입을 다물어야 합니다. 아름다운 책을 만

나 기쁜 마음을 수다꽃으로 펴도록 자리를 틔울 책숲은 언제 태어날까요? 일본이 총칼을 앞세워 이 나라를 억누를 적에 퍼뜨린 ‘정숙(靜肅)’이라는 얼어죽을 말은 언제쯤 걷어치울까요? 뛰놀 마당이 있으면서 드러누워 낮잠을 이룰 나무그늘하고 풀밭이 있을 적에 비로소 책숲답다고 생각합니다. 곁에 큰나무하고 책걸상이 있으면 아름다운 책집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책에 담는 줄거리로만 어린이하고 푸름이한테 마음밥이 되지는 않는다고 느껴요. 책을 이루도록 종이가 되어 준 나무가 살던 숲을 큰고장에서도 보여주기에 책집이요 책숲입니다. 이러한 곳에서 아이어른이 함께 쉬기를 바라요.


ㅅㄴㄹ


《아주 작은 것》(베아트리체 알레마냐/길미향 옮김, 현북스, 2016.6.1.)

《불만이 있어요》(요시타케 신스케/권남희 옮김, 김영사, 2021.4.1.)

《사랑한다는 걸 어떻게 알까요?》(린 판덴베르흐 글·카티예 페르메이레 그림/지명숙 옮김, 고래이야기, 2013.12.15.)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곁책》, 《쉬운 말이 평화》,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