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빛

책하루, 책과 사귀다 57 서울뜨기 시골내기



  서울사람은 서울사람 눈으로 보니 시골내기다운 눈빛이나 손길이 아니기 마련입니다. 시골사람은 시골사람 눈으로 읽으니 서울내기스런 눈길이나 손빛이 아니기 마련이에요. 참 오래도록 서울사람은 시골사람을 얕보았고 짓밟았고 등골을 뽑았습니다. 이런 삶자취는 ‘시골뜨기’란 낱말에 서려요. 이와 맞물려 ‘서울뜨기’란 말이 더러 나돌지만 낱말책에는 안 실리더군요. 서울만 알 뿐, 서울만 벗어나면 어찌할 바를 모르고 숲살림도 흙살림도 들살림도 바다살림도 모르는 이라면 ‘서울뜨기’입니다. 서울살림을 모르기에 ‘시골뜨기’이듯, 뭔가 잘 모르는 ‘뜨기·뜨내기’라는 뜻으로 ‘글뜨기·책뜨기·배움뜨기’라든지 ‘살림뜨기·사랑뜨기·숲뜨기’ 같은 말을 지을 만합니다. 우리는 무엇을 보고 익히고 살아가는 나날일까요? 우리는 어디에서 뜨내기가 되고, 어디에서 꾼이 되며, 어디에서 님이 될까요? 서울살림을 잘 알아 ‘서울내기’라면, 시골살림을 잘 알아 ‘시골내기’입니다. 새로 일하는 ‘새내기’처럼, 숲을 맞이하고픈 ‘숲내기’요, 살림을 돌보려는 ‘살림내기’예요. 글이나 책을 아끼려는 분이라면 ‘글내기·책내기’일 테지요. 저는 ‘풀꽃내기’랑 ‘바람내기’가 되려 합니다. ‘마을내기·골목내기’도 되고요.


ㅅㄴ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