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어젯밤에 (2021.3.3.)

― 인천 〈수봉정류장〉



  인천 미추홀구(남구) 숭의4동은 곧 통째로 거의 사라진다고 합니다. 어쩌면 조금쯤 남을는지 모르나 “사람이 살며 풀꽃나무가 골목마다 아기자기하고 푸르게 노래하던 터전”이라는 숨빛은 가뭇없이 삽차로 찍어낸다지요. 나라 어느 곳을 가더라도 삽질판입니다. 이 나라지기나 저 나라지기나 똑같이 삽질을 사랑했습니다. 이른바 ‘집길(부동산정책)’은 순 “잿빛집(아파트) 높이 쌓기”에 머뭅니다.


  돌림앓이판이 불거지는 곳은 숲이 아닌 큰고장입니다. 서울이거나 서울을 닮은 데에서 사람이 죽어나고 아프며 골골대고 쓰러집니다. 서울이거나 서울을 따라가는 데에서 돈·이름·힘을 거머쥐려고 싸우고 다투고 겨루며 밟습니다.


  숲에서는 돌림앓이가 없습니다. 숲을 낀 두멧자락이나 시골에도 돌림앓이가 번질 일이 없습니다. 우리는 ‘틈새두기’라는 거짓질을 멈출 노릇입니다. 우리가 나아갈 길은 “틈새에 숲을 두기”입니다. “집하고 집 사이에 풀꽃나무를 건사하기”로 살아가고, “높다른 잿빛집이 아니라, 나즈막한 골목집을 일구고, 모든 골목집이 마당을 누리는 길”로 나아가야지요.


  맨발로 풀밭을 걷지 못하니까 앓아요. 맨손으로 나무를 쓰다듬지 못하니까 아파요. 숲이 푸르게 우거져야 숨을 제대로 쉬는 줄 ‘머리(지식)’로 알면 뭐 할까요? 손수 씨앗을 묻어 돌볼 “우리 집 나무”가 없이 어떻게 나무를 배우거나 알거나 사랑할까요? ‘삽질사랑’이 아닌 ‘숲사랑’일 적에야 이 거짓질을 끝냅니다.


  그나저나 인천 제물포 한켠에 알뜰살뜰 여민 〈수봉정류장〉은 채 한 해를 잇지 못하고 사라진다고 하는데, 참말로 어쩔 길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인천지기(인천시장)이라는 벼슬아치 머리에서는, 또 인천에서 벼슬꾼(공무원)으로 지내는 사람들 손에서는, 마을을 통째로 밀어내고서 잿빛집을 높이 올릴 생각만 있을까요?


  이제라도 깨달아야 합니다. 모든 잿빛집은 ‘다닥다닥’입니다. 숨쉴 틈이 없어요. 잿빛집에서 태어나고 자라는 아이는 뛰지도 춤추지도 노래하지도 못합니다. 삶이 없고 놀이가 없어요. 어른이라고 다를까요? 집집마다 사이에 골목을 두고 마당을 거느리면서 나무를 심어 돌볼 틈이 있을 적에 비로소 두레나 품앗이가 저절로 피어나고, 모든 사람이 즐겁게 웃으면서 튼튼하기 마련입니다.


  어젯밤(3.2.)에 〈수봉정류장〉 지기님하고 숭의4동 골목을 천천히 거닐었습니다. 천천히 거닐며 “빈집에 남은 이름판·주소판·상하수도판” 같은 조그마한 자취를 몇 떼었습니다. 통째로 사라지기 앞서 “사람이 살았네” 같은 이야기를 이 작은 조각으로 남겨야겠다고 생각했어요. 마당과 숲과 마을이 없다면 벼슬아치도 나라도 뭣도 다 부질없습니다. 삽질만 해대면 죽음으로 가는 지름길입니다.


《인천이라는 지도를 들고》(양진채, 강, 2021.1.30.)

《수봉산 둘레 마실길》(수봉정류장 엮음, 미추홀구 시민공동체과, 2020.12.31.)

《월간 수봉 1호》(수봉정류장 엮음, 수봉정류장, 2021.1.5.)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곁책》, 《쉬운 말이 평화》,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