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노래 책숲마실


첫발로 잇는 첫걸음 (2021.7.28.)

― 수원 〈책 먹는 돼지〉



  수원 마을책집 〈책 먹는 돼지〉는 2021년 7월을 끝으로 새터로 자리를 옮깁니다. 오래도록 책벗으로 함께 지낸 마을책숲(마을도서관)이 새터로 옮기면서 마음앓이를 하셨고, 곰곰이 생각하다가 맞춤한 자리가 나와서 옮길 수 있었다고 합니다.


  열흘쯤 앞서 자전거로 제주 마을책집을 돌아다니느라 기운을 많이 쓴 몸이지만, 기차·시외버스·택시를 사뿐히 타면 되겠거니 여기면서 수원마실을 합니다. 고흥부터 수원으로 가는 길에 하늘은 구름 없이 맑기도 하고, 구름이 가득하기도 합니다. 남문 곁 헌책집 〈오복서점〉에 들르니 소나기도 옵니다. 재미있어요.


  날씨란, 글씨랑 말씨랑 마음씨처럼 ‘-씨’가 붙는 낱말입니다. 하늘을 살피고 하루(날)를 읽을 적에 숨결(씨)을 헤아리며 살아온 옛사람 넋이 ‘날씨’란 말마디에 고이 흐르는구나 싶어요. 한자말이기 때문에 ‘기상·기후’를 안 쓰지 않습니다. 우리말 ‘날씨(날 + 씨)’에 서린 밑뜻하고 숨결하고 발자취를 어린이도 함께 읽기를 바라기에 이 낱말을 즐겨씁니다. “날이 좋다”고만 수수하게 말하기도 해요. ‘날’은 ‘하루’이자 ‘오늘’이요, 내(나)가 살아가는 즐거운 길입니다.


  삶을 돌아보면, 처음이나 끝은 따로 없습니다. 모든 끝은 처음이요, 모든 처음은 끝입니다. 더구나 처음하고 끝은 찬찬히 나아가는 길 가운데 꼭짓자리 하나예요. 이곳에서 보낸 책집 이야기는 며칠 뒤에 접지만, 저곳에서 누릴 책집 이야기는 며칠 뒤부터 차곡차곡 여밉니다. 한 걸음씩 이어가면서 오늘이 새삼스럽습니다.


  버스랑 버스랑 기차로, 다시 버스에 택시로 〈책 먹는 돼지〉까지 찾아가는 길에 노래꽃 “책 먹는 돼지”를 썼습니다. 책을 머금는, 책이 머무는, 책으로 멋스러운 터전에 흐를 풋풋한 바람줄기를 얹어서 건네고 싶어요.


  글은 스스로 오늘을 쓰려고 하니 저절로 쏟아집니다. 책은 스스로 오늘을 읽으려고 하니 저절로 알아봅니다. 사랑은 스스로 오늘을 지으려 하니 저절로 피어납니다. 살림은 스스로 오늘을 돌보려 하니 아이하고 함께 누려요. 그나저나 덜 쉰 몸으로 수원까지 오느라 해질녘에 졸음이 몰려듭니다. 어느 길손집에 깃들까 하고 기차나루 곁을 거닐다 처음 들어간 곳에서 쇠흙해(금토일) 아닌 물날(수요일)인데 7만 원을 부릅니다. 더구나 “아홉 시 넘어서 오셔야 자리가 있겠는데요?” 합니다. “그렇군요. 아홉 시까지 헤매다가 와야 하는데, 자는 삯도 만만하지 않네요.” 하고 돌아서려니 “저기, 기다려 보셔요.” 하더니 35000원짜리를 내줄 수 있을 듯하다고 말합니다. 커다란 등짐차림 아저씨는 이럭저럭 한 칸을 얻습니다. 얼른 씻고 빨래를 마치고서 드러눕습니다. 술 마시는 젊은이들 소리로 시끄럽지만 잘 잡니다.


《돼지구이를 논함》(찰스 램/송은주 옮김, 반니, 2019.11.15.)

《방귀 사전》(스틴 드레이어·헤나 드레이어 글, 마리아 버크만 그림/최지영 옮김, 노란돼지, 2021.6.25.)

《친구에게》(이해인 글·이규태 그림, 샘터, 2020.6.25.)


ㅅㄴㄹ


※ 글쓴이
숲노래(최종규) : 우리말꽃(국어사전)을 쓰고 “말꽃 짓는 책숲(사전 짓는 서재도서관)”을 꾸린다. 1992년부터 이 길을 걸었고, 쓴 책으로 《곁책》, 《쉬운 말이 평화》, 《책숲마실》, 《우리말 수수께끼 동시》, 《새로 쓰는 우리말 꾸러미 사전》, 《우리말 글쓰기 사전》, 《이오덕 마음 읽기》, 《새로 쓰는 비슷한말 꾸러미 사전》, 《읽는 우리말 사전 1·2·3》, 《우리말 동시 사전》, 《새로 쓰는 겹말 꾸러미 사전》, 《시골에서 도서관 하는 즐거움》, 《시골에서 살림 짓는 즐거움》, 《시골에서 책 읽는 즐거움》, 《마을에서 살려낸 우리말》, 《숲에서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새롭게 살려낸 우리말》, 《10대와 통하는 우리말 바로쓰기》 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